“김정은, 김정일 체제 사치품 수입 금액 2배 쓴다”
“김정은, 김정일 체제 사치품 수입 금액 2배 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윤상현 “지난해 사치품 수입에 쓴 돈, 北 식량부족분 충분히 채우고도 남는 금액”
▲ 새누리당 윤상현 의원은 7일 김정은 체제의 사치품 수입 금액이 과거 김정일 체제에 비해 2배에 달한다고 주장했다. 사진 / 홍금표 기자

김정은 체제가 과거 김정일 체제에 비해 사치품 수입 금액이 2배에 달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윤상현 의원은 7일 우리 정부가 지정한 대북 반출 제한 사치품 목록을 기준으로 중국관세의 중·북 무역통계 및 북한의 대외무역동향자료를 분석, 북한이 지난해 수입한 사치품 규모가 6억4429만 달러(6800여억 원 상당)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주장했다.

윤 의원은 “북한은 중국, 유럽,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사치품을 수입하고 있는데 그 규모가 김정일 체제에서는 연간 3억 달러 안팎이었으나 김정은 체제 이후 두 배 수준인 6억 달러에 이르고 있다”고 했다.

윤 의원은 이어 “특히 최근 들어 수입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사치품은 술, 시계, 핸드백, 화장품, 보석, 카펫 등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윤 의원은 “평양의 특권부유층을 위해 백화점과 시장 등에서 판매되는 공급물량을 늘리는 한편 체제보위 핵심계층인 당과 군부의 고위간부들에게 나눠줄 선물용 물품들의 수입을 늘리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뿐만 아니라 “애완견은 사치품으로 지정돼 있지 않지만 유럽산 순종 시츄와 셰퍼드 등과 같은 수십여 마리의 애완견과 그 관리용품들을 수입하는 등 애완견 비용으로도 연간 총 20만 달러 상당을 쓰고 있다”고 설명했다.

윤 의원은 “북한이 지난해 사치품 수입에 쓴 돈은 옥수수 366여만t(1t당 176달러), 쌀 151만6000t(1t당 425달러)를 각각 구매할 수 있는 규모”라면서 “이는 유엔식량농업기구(FAO)와 세계식량계획(WEP)이 평가한 2013~2014년도 양곡연도의 식량부족분 34만t을 충분히 채우고도 남는 금액”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