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정치민주연합 정대철 상임고문은 14일 “당을 끝까지 고치려고 노력하다가 안 되면 신당창당의 모습을 띤 개혁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상임고문은 이날 오전 YTN 라디오 ‘신율의 출발 새아침’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하면서 “마이너스적으로 신당을 만들면 둘로 갈라지고 좋지 않다. 신당적 모습으로 다시 태어나고, 다시 뜻을 규합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당 창당 시기에 대해선 “최대한 노력을 하다가 안 되면 신당 창당의 모습으로 할 수도 있다는 뜻”이라며 “미리부터 신당 창당을 이야기 하는 것은 적당하지 않다”고 했다.
당내 중도·온건·비노계열로 꾸려진 구당구국모임의 좌장격인 정 상임고문은 “당이 신뢰를 잃었다”며 “당 지도부가 국민적 신뢰를 잃었다는 것이 근인(근본원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당이 지금 이 모습을 가지고는 쉽게 정권을 창출하거나 국민적 신뢰를 회복하기 어렵다는 데에서 시작되지 않았나 본다”고 했다.
정 상임고문은 “국민적 신뢰를 얻기 위해선 이념적 스펙트럼이 넓어져야 한다”며 “뿐만 아니라 장년층, 노년층에 방점을 찍는 정당으로 가지 않으면 제대로 된 모습을 가지고 국민적 지지를 끌어낼 수 없다”고 말했다.
“우리당의 폐해라고 할 수 있는 것이 예전에 운동권 경력이 있는 사람들이 조금 있는데 그들이 도덕적 우월성에 파묻혀 있어 강경론으로 나오고 우리만이 잘난 사람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보여진다는 것, 안정적인 리더들이 나오지 않는 것”이라고 문제점들을 열거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정 상임고문은 “정통야당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정 상임고문은 또 “운동권적 강경파가 당을 좌지우지하며 끌고가는게 문제”라면서 “한명숙 이해찬 당 대표 시절 영입한 사람 대부분 운동권적 시각을 가진 사람들로, 균형이 맞아야 하는데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있다”고 했다.
‘운동권적 시각을 가진 강경파가 계속 주류로 남아 있다면 총·대선에서 승리하기 어렵다고 보느냐’는 질문에는 “그렇다”며 “지금 이 모습을 갖고는 쉽게 정권을 창출하거나 국민적 신뢰를 회복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당의 중심을 잡아줄 인사 가운데 손학규 전 대표 얘기가 나오는데 어떻게 보느냐’는 질문에는 “개인적으로 전화도 한두번씩 하고 그러는데 ‘아이고 정 선배, 너무 끌어들이지 마세요’라고 하더라”며 “그러나 앞으로 정당을 잘 만들어가면서 필요에 의해 징발할 수도 있다고 생각은 한다”고 말했다. 그는 손 전 대표에 대해 “기본적으로 온건, 중도라고 봐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