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주택거래, 8월보다 13.4% 증가에 그쳐
9월 주택거래, 8월보다 13.4% 증가에 그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작년 동기 대비 51.9% 증가 홍보한 국토부 ‘과대포장’ 논란
▲ 국토교통부가 14일 발표한 9월 주택매매거래 현황 ⓒ국토교통부

9월 한 달간 주택 매매거래가 86,186건을 기록, 전월 대비 13.4%, 작년 동기 대비 51.9%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토교통부는 14일 지난 9월 전국 주택거래량이 86,186건을 기록, 작년 9월보다 50%이상 증가했고 1~9월 누계 기준으로는 70만 9600건으로 작년보다 21.6% 늘어났다고 밝혔다.

주택유형별로는 아파트가 55.6% 증가한 61,946건으로 집계됐다. 연립·다세대(13,240건)는 39.4%, 단독·다가구(11,000건)은 48.0% 각각 늘었다. 권역별로는 수도권 42,684건, 지방 43,502건으로 집계됐다. 수도권 중에서도 서울은 72.0% 늘어난 13,946건, 강남 3구는 141.0% 늘어난 2,273건이었다.

국토부는 9월 주택매매 거래량이 전년 동기 대비 51.9% 증가한 점을 근거로 “이는 지난 4월 전국 9만 2691건 이후 가장 많은 것으로, 9·1 부동산 대책 이후 주택시장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9월 주택거래량은 지난 달과 비교했을 때 13.4% 증가하는데 그쳤고, 올 하반기 월별 주택거래량의 전년 대비 증가율은 지난 7월 94%에서 8월 63.1%, 9월 51.9%로 줄어들고 있다. 국토부 보도자료에는 이 같은 내용이 데이터로만 제시돼 있고, 특별한 언급 없이 전년 동기간과 대비한 분석내용만 쓰여 있어 이 같은 국토부의 분석이 ‘과대포장’된 것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 투자자들의 관심사는 각종 대책 발표 이후의 변화량일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비교 대상인 작년 9월은 취득세 한시감면 조치가 종료된 뒤(지난해 6월) 영구 인하를 시작하는 시기가 확정되지 않아 전국 주택거래량이 56,733건까지 줄었던 때다. 취득세 영구인하 시기가 확정된 직후인 작년 10월의 전국 주택거래량은 90,281건까지 뛰었다.

실제 9월 주택 매매 거래량을 전월과 비교했을 때는 13.4% 증가하는 데 그쳤고, 수도권 거래량은 전월보다 23.6% 늘었지만 지방은 5% 증가하는데 그쳤다. 주택 유형별로 아파트는 전월대비 14.8%, 연립·다세대는 14%, 단독·다가구는 5.9% 각각 증가했다.

정부가 재건축 규제 완화, 청약제도 개편 등을 담은 9·1 부동산 대책을 내놓은 이후 주택거래량이 늘어난 것은 사실이지만 쏟아져 나오는 대책에 비해 큰 효과를 누렸다고 평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