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7명의 사상자를 낸 판교 통풍구 추락사고와 관련 시민단체들이 이에 안전규정을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22일 안전사회시민연대는 서울 중구 대한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바닥형 환풍구(오염공기배출구)는 생명안전과 시민건강에 치명적이다”라며 “통풍구를 지상 5m 이상 높여라”라고 한 목소리를 냈다.
이들은 “통풍구는 추락사 위험이 클 뿐만 아니라 지하공간에 축적된 미세먼지·포름알데히드·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을 배출하는 오염공기 배출구”라며 “바닥형 통풍구로 인해 오염된 공기가 어린이의 코와 입으로 그대로 들어가게 된다”고 지적했다.
생명을 위협하는 통풍구에 대해 이들은 ▲지하철·주차장 등 모든 통풍구의 높이를 지상 5m 이상 높일 것 ▲임시로 안전펜스와 안전 푯말을 설치할 것 ▲국회·정부·지자체는 환풍구 안전 입법을 서두를 것 등을 요구했다.
또한 “야외 공연이라 규정이 없다며 대응을 회피한 소방당국과 경찰당국, 대규모 행사를 주최하면서도 안전사고 가능성에 철저히 대비하지 않은 경기도, 관내의 일임에도 조례가 없다는 이유로 안전 대책을 점검하지 않은 성남시와 분당구청은 이번 참사의 공범”이라고 비판했다.
우리나라는 환풍구에 대해서는 “안전규정이 미비돼 있다”며 “대형 건물과 지하철이 전국 곳곳에 지어져 최근 환풍구는 더욱 중요해졌음에도 국회가 입법 대응을 하지 않았다는 건 커다란 직무유기”라고 힐난했다.
시민연대는 “국회의원들은 이에 대한 책임을 깊이 느끼고 많은 시민들이 볼 수 있는 환풍구 앞에서 하루에 한 시간 씩 일주일간 잘못에 대한 용서를 구하는 모습을 보이라”고 거듭 비판했다.
최창우 안전사회연대 대표는 “안전을 최우선 하겠다는 약속을 하고 당선된 지자체장들이다. 판교참사가 일어났음에도 어떤 안전대책도 마련하지 못하고 이전의 경우처럼 지나가버린다면 너무나 슬프지 않을 수 없다”며 “법 규정과 예산을 들먹이면서 어떻게 하면 회피할까 고민하기 보다는 지금까지 대책 마련을 하지 않은 자신들을 반성하고 안전 공약을 실천하는 마음으로 적극적으로 응답하라”고 강조했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