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교육청이 전국에서 처음으로 누리과정 예산을 미편성한 가운데 전국 시·도 교육청의 이에 동참할 것으로 보아 학부모들이 반발했다.
6일 경기도교육청 홈페이지 열린광장에는 누리과정 예산 미편성에 대해 학부모들의 불만의 글이 끊이지 않고 있다.
한 학부모는 “교육감님이 수많은 맞벌이 부부들의 어린 자녀들 생각하면 보육료 지원 예산 삭감을 그리 결정할 수 없을텐데 내년부터 지원이 끊긴다고 생각하니 아주 화가 난다”며 “나라에서는 출산장려 독려하면서 행정은 이렇게 뒷걸음질 치니 이런 현실에 닥친 학부모들은 표를 잘못줬구나”라고 분노했다.
다른 학부모는 “교육감후보 당시 슬로건이 ‘단 한명의 아이도 포기하지 않겠다’였는데 이미 교육감은 많은 아이들을 포기했다”며 “경기도는 어린 자녀들과 함께 사는 것이 너무 힘든 곳이 되었다”며 씁쓸한 심경을 밝혔다.
반면 또 다른 학부모는 “현지금 누리과정 .양육수당 이 모든것들의 원인이 무상교육에 있다고 본다. 무상교육보다는 차등지원을 해주어서 양육수당도 없어져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유치원의 교육비 부담이 크다면 단설유치원을 늘려 저렴하게 교육받을 수 있도록 함이 어떨까 생각한다”고 했다.
이날 참보육을 위한 부모연대 등 보육·여성·교육·시민단체 50여곳은 교육재정 및 무상급식·무상보육 파탄 위기에 대해 ‘희망버스’를 타고 “만 3~5살 누리과정(교육·보육 통합 교육과정)의 어린이집 무상보육 예산 2조1500억여원을 편성하라”고 촉구할 예정이다.
이후 세종시로 이동해 오후 3시 기획재정부·교육부 앞에서 집회를 열고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및 황우여 교육부 장관과의 면담을 요구한다.
한편 지난 5일 이재정 경기도교육감은 ‘경기교육 재정현황 설명회’에서 누리과정 소요액 1조460억 원(유치원 무상급식 157억 원 포함) 가운데 3천9백억 원 가량만 편성하고 6천4백여 억 원을 편성하지 못했다고 발표했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