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사상 최초로 ‘순자산국’ 전환
韓, 사상 최초로 ‘순자산국’ 전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외투자가 외국인투자보다 277억$ 많아
▲ 우리나라가 경상수지 흑자 등에 힘입어 사상 최초로 대외투자가 외국인 투자액보다 많은 순자산국으로 전환했다. ⓒ뉴시스

우리나라의 대외자산이 대외부채를 넘어서 사상 처음으로 순자산국으로 올라섰다.

한국은행(이하 한은)이 20일 발표한 ‘9월말 국제투자대조표(잠정)’에 따르면 9월말 현재 우리나라의 금융자산인 대외투자액은 1조 515억 달러로 금융부채, 즉 외국인 투자(1조 288억달러) 보다 277억 달러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가 외국으로부터 받아야 할 돈이 내줘야 할 돈보다 많다는 뜻이다.

대외 자산이 부채를 넘어선 것은 지난 1994년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이후 처음이다. 대외투자액에서 외국인 투자액을 뺀 순국제투자 잔액은 2007년 9월 말 -2149억달러까지 내려가기도 했다. 이에 한국은행은 “우리나라의 안정적인 대외건전성이 반영된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3개월 전만해도 우리나라는 외국인의 국내투자가 내국인의 대외투자보다 많은 ‘순대외부채’ 국가였다. 순국제투자 잔액은 6월말 기준으로 마이너스 105억달러였다. 우리나라가 순자산국으로 전환한 것은 대외투자가 102억 달러 늘어난 반면 외국인 투자는 원화가치 하락 등으로 231억달러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즉, 외국인이 같은 규모의 원화 투자를 유지해도 원화 가치가 떨어지면서 달러로 환산한 투자금액이 줄어든 것이다.

순자산국에 등극한 주된 이유는 경상수지 흑자다. 우리나라의 경상수지는 31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하고 있고 상반기 흑자폭은 사상 최대 수준으로 집계됐다.

한편 대외채권이 늘어나고 대외채무가 크게 줄면서 순대외채권 잔액(2249억 달러)도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9월말 기준으로 대외채무는 4291억 달러로 6월말에 비해 131억 달러 줄었고 대외채권은 6540억 달러로 3개월 전보다 62억 달러 늘었다.

한은은 “우리나라가 순자산국으로 전환한 것은 대외건전성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주요 선진국인 일본(3조865억달러)·중국(1조9716억 달러)·독일(1조9716억 달러) 등이 대외자산이 부채보다 많은 순자산국이다. 순대외부채 국가로는 미국, 스페인, 브라질, 호주 등이 있다.

한은은 “순자산국 전환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다른 신흥국과는 달리 우리나라가 대외건전성이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는 뜻”이라며 “경상수지 흑자 행진과 충분한 외환보유액도 자산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또한 한은 이혜림 국외투자통계팀 과장은 “원달러 환율도 평가 절하됨과 동시에 글로벌 미 달러화 강세 흐름이 지속되면서 은행 입장에서는 원화 자산을 회수해서 차입금을 상환할 만한 요인이 있었다”며 “이에 따라 차입금 상환이 많이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다만, 이같은 순자산국 전환이 국내 생산시설의 해외 이전과 저금리 기조에 따른 투자자금 유출에 따른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된다. 이에 대해 이상현 국외투자통계팀 팀장은 “경상 수지 흑자에 따른 여유자금을 다양하게 활용하게 된 것이라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