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대통령이 임기 중 친인척 및 측근 비리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강도 높은 관리를 하고 있는 모양새다.
<TV조선>이 24일 보도한 바에 따르면, 박근혜 대통령은 청와대 민정수석실을 통해 거의 매일 친인척 관련 동향을 보고받는 것으로 전해졌다. 역대 정권들이 임기 말 친인척 비리 문제로 몰락의 길을 걸어왔던 것을 답습하지 않기 위해서라는 것이다.
이 매체는 “청와대 민정수석실은 박 대통령의 동생인 박근령씨 부부와 박지만씨 부부 이발비까지 살필 정도로 철저하게 감시하는 것으로 전해졌다”고 보도했다.
여권 고위 관계자는 지난 8월께 민정수석실 관계자들이 박근령씨 남편인 신동욱 공화당 총재를 만났다는 사실을 전하기도 했다. 신 씨가 박근혜 대통령 명의로 배달된 박근령씨 생일 축하난을 박 대통령을 사칭해 조작했는지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서였다는 것이다.
특히 당시 신 씨를 만난 민정수석실 관계자들은 신 씨가 주로 탑골공원 근처를 걷고, 3500원짜리 이발관을 자주 찾는 등의 일상생활까지 모두 파악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전날(24일) 한 언론은 청와대 민정수석실이 박근혜정부의 비선 실세로 불리는 정윤회(59) 씨에 대해 감찰 조사를 벌였다가 한 달 만에 감찰이 중단됐다는 등의 외압 의혹을 보도해 파장을 일으키기도 했다.
언론에 따르면 청와대는 올해 초 정윤회 씨의 공직자 인사 개입 의혹에 대해 감찰 조사를 벌였지만 한 달 만에 중단됐고, 특히 당시 민정수석실 소속 행정관 신분으로 감찰을 진행했던 경찰청 출신 A경정은 다시 원래 소속으로 복귀하게 된 것으로 전해졌다. 그리고 A경정 후임은 정윤회 씨 의혹에 대해 더 이상 조사를 벌이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사정기관 관계자는 “감찰을 진행하던 실무자가 인사 시즌도 아닌 때에 갑자기 전보조치된 것은 극히 이례적인 일”이라며 “누군가 감찰을 중단시키기 위해 압력을 행사했던 것 아니냐는 의심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보도에 대해 청와대는 이날 즉각 설명자료를 내고 “사실이 아니다”고 해명했다. 청와대는 이와 관련, “민정수석실에서는 정 씨에 대해 감찰을 실시한 바 없다”고 거듭 해명했다.
또, 감찰을 진행하던 A경정에 대한 좌천성 인사조치 의혹에 대해서도 “청와대 행정관의 인사 시기는 따로 정해진 바 없고 필요에 따라 수시로 하고 있다”며 “청와대는 사실이 아닌 기사에 대해서는 강력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