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률 靑수석 ‘북핵, 약소국의 비장의 무기’
김상률 靑수석 ‘북핵, 약소국의 비장의 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집트 대량살상무기 개발 보유 의혹에 ‘자위권 행사’

▲ 김상률 신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이 과거 자신이 쓴 책에서 북한의 핵무기 개발에 대해 ‘약소국의 비장의 무기’라고 밝힌 사실이 뒤늦게 확인돼 논란이 일고 있다. ⓒ뉴시스
지난 18일 임명된 김상률 신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이 과거 자신이 쓴 책에서 북한의 핵무기 개발에 대해 ‘약소국의 비장의 무기’라고 밝힌 사실이 뒤늦게 확인돼 논란이 일고 있다.

북핵을 용인하지 않는 정부의 기조에 맞지 않을뿐더러 북핵을 옹호하는 듯한 인상을 주기 때문이다.

김 수석은 2005년 낸 ‘차이를 넘어서’라는 저서에서 북한의 핵무기 보유와 관련, “열강에 에워싸여 있는 한반도의 지정학적 위치를 고려할 때 민족 생존권과 자립을 위해 약소국이 당연히 추구할 수밖에 없는 비장의 무기일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미국이 테러, 대량살상무기, 북한 핵 등을 위협적인 요소로 규정한 것도 따지고 보면 미국 중심의 발상”이라고 썼다.

팔레스타인 무장 독립투쟁에 대해선 “동양인의 시각에서는 테러가 아니라 독립운동”이라고 했으며 이라크의 대량살상무기 개발 보유 의혹에 대해서는 “자주 국방의 자위권 행사”라고 서술했다.

한편, 김 수석은 논란이 확산되자 청와대 대변인실을 통해 “이 책은 10년 전 미국 문화에 대한 글을 쓰면서 당시 일부 학계의 이론을 소개한 것일 뿐”이라면서 “일부 표현상에 오해의 소지가 있었던 점은 송구하게 생각한다”고 해명했다.

김 수석은 또 “탈식민주의와 페미니즘을 전공한 학자로서 책의 전반적인 내용은 남녀평등과 상호 호혜적 존중관계를 지향하자는 의미였다”고 전했다.

김 수석은 이어 “북한 핵문제와 관련해서는 ‘벼랑 끝 전술’을 쓴다는 점을 지적한 것”이라면서 “본인은 자유민주주의자로서 한반도의 비핵화와 미국과의 동반자적 관계가 필요하다는 신념은 확고하다. 검증단계에서도 충분히 설명한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