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B비리’를 수사하고 있는 검찰이 김재열 전(前) KB금융지주 전무를 구속했다.
지난 18일 KB그룹의 전산·통신 납품비리 의혹을 수사하고 있는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김후곤 부장검사)는 납품업체에서 금품을 받은 혐의(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 및 금융지주회사법 위반)로 김 전(前) 전무를 구속했다.
김 전(前) 전무는 지난해 말 KB금융그룹의 통신인프라고도화사업(IPT)에서 KT가 주사업자로 선정되고 A사에 하도급을 주는 과정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대가로 IT업체 B사 대표 조모(45) 씨에게서 6천여만원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서울중앙지법 엄상필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이날 “범죄혐의가 소명되고 증거를 인멸하거나 도망할 우려가 있다”며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검찰은 김 전(前) 전무를 지난 12일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한 뒤 사전구속영장을 청구한 바 있다.
IPT는 국민은행 각 지점과 본점을 연결하는 전용회선 등을 개선하는 1천300억원 규모의 사업이다. B사는 KT에 200억원대 통신장비를 납품한 A사로부터 하도급을 받았다. 앞서 B사 대표 조씨는 김 전(前) 전무에게 청탁을 해주는 대가로 A사와 거래내역을 부풀려 수십억원을 챙긴 혐의로 지난 4일 구속됐다.
김 전(前) 전무는 KB금융지주 최고정보관리책임자(CIO)로 일하다가 주전산기 교체를 둘러싼 내부갈등에 휘말려 지난 9월말 3개월 직무정지 처분을 받았다. KB금융지주는 지난 15일 그의 사표를 수리했다고 밝혔다.
검찰은 또 조만간 임영록(59) 전 KB금융지주 회장을 소환해 각종 전자·통신사업 납품업체 선정에 얼마나 관여했는지 확인하기로 했다. 임 전 회장은 KB금융그룹의 인터넷 전자등기 시스템 사업과 관련해 지난해 12월 중순 소프트웨어 개발·공급업체 C사로부터 주식 1억원어치를 건네받았다는 의혹도 사고 있다.
검찰은 이 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C사가 자사 주요주주인 고려신용정보 윤의국(65) 회장과 임 전 회장의 친분을 이용해 로비를 벌인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검찰은 수사를 받다가 자살을 기도한 윤 회장을 일단 11억원대 횡령 혐의로 구속기소한 상태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