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우여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만 3~5세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누리과정’의 예산에 대해 “누리과정, 초등 돌봄교실과 같이 어린 학생들의 동등한 출발선을 보장하는 일을 국가가 책임지겠다”고 밝혔다.
31일 황우여 부총리는 ‘2015년 신년사’에서 이 같이 밝히고 “학교 내 안전을 강화해 안심하고 보낼 수 있는 학교를 만들 것”이라면서 “계층과 지역, 인종, 장애 등에 차별 없이 공부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황 부총리는 내년 목표로 ▲창의적 인재 양성 ▲안전한 학교와 고른 교육기회 ▲대학 글로벌 경쟁력 강화 ▲일·학습 연계 직업·평생 교육체제 확대 등을 꼽았다.
이어 그는 “유아부터 고등학생까지 발달단계별로 반드시 갖추어야 할 덕목을 익힐 수 있도록 실천 체험형 인성교육을 강화하고 예술·체육·인문교육이 강화될 수 있도록 하겠다”면서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구체적 추진 방안을 마련하고 학생·학부모의 입시부담을 덜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2023년까지 대학 입학정원을 16만명으로 줄이는 대학구조개혁에 대해서는 “학령인구 감소라는 위기상황에 대응해 대학이 유학생 유치, 평생직업교육 기능 강화 등 새로운 고등교육 수요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대학의 질을 높이는 방향으로 구조개혁을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또 학습과 일이 연계된 직업·평생 교육체제를 확대와 관련에 대해 “고등학교 수준에서는 현장에 기반을 둔 직업교육을 강화하고 대학은 ‘취업 약정형 주문식 교육과정’을 운영해 취업으로 이어지는 현장실습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황 부총리는 “선취업 재직자들의 후진학 기회를 확대하고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교육과정과 학벌을 대체할 수 있는 국가역량체계인 NQF 구축에도 힘을 쏟겠다”고 덧붙였다.
교육부 장관은 2015년부터 교육뿐 아니라 보건복지부와 문화체육관광부 등 8개 부처의 교육·사회·문화 정책을 총괄·조정하는 부총리직을 겸하게 된다.
이와 관련해 황 부 총리는 “저출산 극복, 능력중심사회 구현, 사회 안전망 구축, 일·가정 양립 등 사회관련 부처에 폭넓게 관련된 의제에 대해 개별 부처의 입장을 넘어 장기적 안목에서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조정하겠다”고 약속했다.[시사포커스 / 진민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