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달 고재호 사장의 임기 만료를 앞두고 온갖 소문이 난무한 상태인 대우조선해양이 차기 사장 선임 문제로 결국 정기 주주 총회마저 연기할 것으로 보인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대우조선해양은 차기 사장 선임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내달 20일로 예정된 정기 주총을 일주일 뒤인 27일로 연기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기 주총이 연기될 경우 대우조선해양은 사장추천위원회 구성을 다음달 2일로 늦추고, 오는 26일 이전에 열릴 것으로 전망됐던 임시이사회도 내달 5일께로 늦출 전망이다. 임시이사회에서는 사장 선임이 주요 의제로 상정될 예정이다.
앞서 대우조선해양은 지난 23일 열린 정기이사회에서 사장 선임 안건을 올리지 않은 채 3000억원 규모의 회사채 발행 안건만 통과시켰다. 업계에서는 정기이사회에서 사장 선임 문제가 주요 이슈로 논의될 것이라는 관측이 무성했지만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 “언급도 되지 않았다”며 일축했다.
게다가 이 이사회마저도 지난 10일 열릴 예정이었던 것에서 2주 가량 늦춰진 것이라 대우조선해양의 차기 사장 선임 건의 향방에 대해 도무지 알 수 없다는 반응이 쏟아지고 있다. 현재로써는 임시이사회로 시선이 쏠리고 있는 상황이다.
◆사장 왜 바꾸나…설(說) 난무

업계에서는 애당초 대우조선해양이 사장을 교체하는 것에서부터 의문을 제기해 왔다. 지난해 대우조선해양은 국제 유가 하락 등의 여파로 불황을 겪고 있는 조선업계에서 유일하게 수주 목표를 초과 달성하는 등 크게 선방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따라서 고재호 현 사장의 연임은 무난할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납득할만한 이유가 제시되지 않은 채 고재호 사장이 교체될 것이라는 얘기가 돌더니 현재 사장 교체는 기정사실화된 상황이다. 산업은행이 고재호 현 사장의 연임이 어렵다는 내부 방침을 정하고 후임 인선 작업에 착수했다는 얘기가 돌았다.
그렇다면 시장의 의문을 해소하기 위해서라도 응당 빠른 공식발표가 있어야 하지만 대우조선해양의 사장 선임건은 차일피일 미뤄지기만 하고 있다.
게다가 대우조선해양 지분의 31.5%를 가지고 있는 산업은행 측은 “산은이 개입할 사안이 아니다”고 선을 긋고 있고, 대우조선해양 측은 “산은에 물어 보라”고 미루고 있다.
노조 및 업계에서는 정치권의 ‘외풍’을 우려하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지난 1999년 대우그룹의 유동성 위기로 전신인 대우중공업이 워크아웃을 신청, 채권단 출자전환 등 여러 과정을 거쳐 2000년 산업은행이 최대 주주가 됐다. 지분 보유 현황이 산은 31.5%, 금융위원회 12.2%, 국민연금 8.1%로 정부 측의 지분이 50%를 넘는다.
따라서 견실하게 회사를 이끌고 왔다는 평가를 받는 고재호 사장에 대해 돌연 교체 방침이 세워지고, 후임 사장 인선 작업이 지지부진하면서도 어느 한 쪽에서도 뚜렷한 답변을 내놓지 않고 있는 현 상황이 정치권의 외풍 우려를 더욱 키우고 있다.
교체가 어떤 이유든간에 후임 사장 인선 작업이 늦어지면서 직원들의 혼선과 불안감도 증대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차기 사장 후보에 벌써부터 줄대기를 하는 직원도 나오고 있다는 얘기도 도는 판국이다.
올해도 엔저·저유가와 불황의 여파가 여전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연초부터 뜻밖의 일로 시끄러운 대우조선해양의 사장 선임 문제가 하루 빨리 매듭지어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