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누리당 이정현 최고위원은 이번 개각과 청와대 인사개편으로 박근혜 대통령이 친박계 인사들로 주로 구성한 것과 관련해 “박근혜 대통령이 되고나서 친박 의원들을 따로 관리해서 밀고, 친박과 비박을 구분해서 대결시키고, 이런 정치를 정말 끊으려고 했다”고 밝혔다.
이정현 최고위원은 이날 YTN 라디오 ‘신율의 출발 새아침’과의 인터뷰에서 “발탁이 되면 마치 그 사람이 친박인 것처럼 보여지고, 발탁되지 않으면 아닌 것처럼 보여지고 하는 그런 부분들은 사실상 박근혜 정치가 이전 정치와 완전히 다르게 시도하고 있는 계파, 파벌 정치, 이걸 끊으려고 하는 산물로 봐야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만일 관리하려고 마음을 먹고, 실제로 파벌 정치를 하려고 했다면 지금의 경우와는 달랐을 것이라고 봅니다. 그런데 대통령 스스로 그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점이라는 인식을 분명하게 가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이 최고위원은 “김영삼 대통령 시절의 상도동계나, 그 뒤에 있었던 동교동계나, 또 그 뒤에 있었던 친노, 그 뒤에 있던 친이, 이때 그분들의 계보정치에 혁혁한 활동에 비하면, 지금 친박들은 있는지도 모르고, 실제로 친박들을 따로 모아서 도모하고, 이런 것을 안 한다”고 강조했다.
친박계 인사 구성이 비박근혜계인 김무성, 유승민 체제의 지도부를 견제하기 위한 것이 아니냐는 시각에 대해서는 “박근혜 대통령이 당 대표시절에 사무총장을 하시던 분이 지금 김무성 대표이시고, 그 당시 당 대표의 비서실장을 하시던 분이 지금 유승민 원내대표다”라며 “수많은 의원들 중에 공감되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함께 한 당직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분들을 지금에 와서 비박이다, 반박이다, 이렇게 말하는 것은 잘 맞지 않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아무리 행정부에 여당의원을 많이 모시고 갔다고 하더라도 국회는 국회대로 대통령이 별도로 의지해야 할 부분이 있고, 협조해야 할 부분이 있기 때문에 당을 소홀하게 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한편 야당이 내각으로 이동한 의원들은 다음 선거에서 불출마를 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출마나 불출마는 정치인 본인이 판단할 문제고, 꼭 그렇게 해야 한다고 하는 의무는 아니다”라고 답했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