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 SH공사의 ‘마케팅 전문 인력 7명 전원 또는 일부 해고’에 대해 해당 직원들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SH공사는 지난 2013년 3월 마케팅 전문 직원 7명을 채용하면서 ‘1년 근무 후 실적평가를 통한 무기 계약직 전환’이란 조건을 달았던 바 있다.
이후 SH공사는 지난해 3월 직원 전원의 계약기간을 1년 연장한 뒤 정원 반영이 어렵다는 이유로 무기 계약직으로 전환하지 않았다.
해고 위기에 몰린 마케팅 전문직원들은 ‘낙하산은 살고 계약직 직원들은 내팽개쳐지는 현실’이라며 “변창흠 사장이 취임 이후 개방형 직위 인사 및 각종 자문위원을 발족해 자기 식구 취업 창구로 활용하고 있다.”고 호소했다.
마케팅 직원들은 호소문을 통해 “SH공사는 계약기간 2년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무기계약직으로 전환이 될 것이라고 얘기했지만, 전환조건은 무시하고 있다”며 “해고 요구는 서울시 산하기관 비정규직 정직화에 반하는 조치”라고 억울함을 표했다. 또한 “변 사장이 주도하는 인사혁신책 중 하나인 민간전문가 채용 방침과도 어긋난다."고 주장했다.
이 사태에 대해 서울시의회 유동균 의원은 6일 서울시의회에서 열린 SH공사 주요업무보고에서 “공기업인 SH공사가 일 잘하는 사람은 정규직으로 전환을 해주겠다고 해놓고 전환은 하지 않고 1년만 연장해주는 것은 갑의 횡포다.”라는 반응을 보였다.
변창흠 사장은 "정규직은 아니고 계약을 연장해주겠다고 한 것"이라며 "성과를 내고 있다는 것도 들었지만 계약과 관련해서는 직무부채 감축 등을 위해 임시로 채용한 사람"이라고 밝혔다.
또한 “정원 외 정수를 늘려서라도 모든 사람을 채용할 수는 없고 평가를 거쳐 일부 우수자를 채용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며 "제도화하는 방안을 적극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최근 변 사장이 회사의 상임이사를 공모하는 과정에서 특정 인사를 밀어줬다는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 변 사장은 이에 대해 그런 일은 없었다고 해명했지만 논란이 일고 있다.
[시사포커스 / 부은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