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자부, 뒤늦은 공공아이핀 해킹 사과
행자부, 뒤늦은 공공아이핀 해킹 사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번주내 전문가 T/F꾸려 대책 마련할 것”
▲ 행자부가 뒤늦게 공공아이핀 해킹에 대해 사과하고 나섰다. ⓒ아이핀

행자부가 뒤늦게 공공아이핀 해킹에 대해 사과하고 나섰다. 행자부는 공공아이핀 부정발급 재발방지 종합대책 마련을 위해 관련기관, 학계 전문가 등으로 T/F를 구성해 종합대책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행정자치부는 10일 지난달 29일 밤 12시부터 2일 아침 9시까지 발생한 공공아이핀 부정발급에 대해 사과했다.

행자부는 공공아이핀 부정발급 재발방지 종합대책 마련을 위해 관련기관 및 학계 전문가 등으로 T/F를 구성해 종합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우선, 이번주 중 외부 보안전문기관으로 하여금 통해 사고원인을 분석하고 공공아이핀 보안강화대책을 조속히 수립하는 한편, 금년 상반기 중으로는 외부 보안전문업체를 통해 공공아이핀 시스템 구조 및 성능진단, 관리·운영상의 문제점 및 개선사항 검토 등 시스템 고도화 방안을 마련하여 금번 사고와 같은 부정발급이 발생하지 않도록 근본적인 재발방지 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행자부는 “이번 사고의 원인이 시스템의 취약점을 이용해 정상 공공아이핀 발급단계를 우회한 파라미터 위변조 방식이 사용된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한편, 공공아이핀 시스템 해킹 사건이 일어난 이후 지난주 5, 6일 양일간 평소보다 5배 많은 1008명이 회원탈퇴를 했다. [ 시사포커스 / 박효길 기자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