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계, 정부측 ‘임금 인상론’에 반대 물결
경제계, 정부측 ‘임금 인상론’에 반대 물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경연 “임금소득 늘어도 내수로 연결되기 어려울 것”
▲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적정 수준의 임금인상이 필요하다고 발언한 것과 관련해 경제단체들이 잇따라 반대 성명을 내고 있다. 한경연은 “무리한 소득증대가 내수 진작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한국경제연구원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4일 내수 진작을 촉구하는 취지에서 적정 수준의 임금인상이 필요하다고 발언한 것과 관련해 경제단체들이 잇따라 반대 성명을 내고 있어 논란이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10일 전국경제인연합회 부설 한국경제연구원은 “정부가 최저임금 인상 등 소득 중심 성장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무리한 소득증대가 내수 진작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면서 참고자료를 제시했다.

한경연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6년부터 2013년까지 경상소득은 31.6% 증가했지만 소비지출은 22.0% 증가하는데 그쳤다. 이에 한경연은 “소비자들이 불확실한 미래에 대비하기 위해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연금 등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지출 증가 등 소비성향이 구조적으로 바뀌고 있어 임금소득이 늘어도 내수로 연결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해외직구 증가세 등에 비춰볼 때 내수 확대를 위해서는 병행수입 확대 같은 국내 소비 여건 개선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앞서 한국경영자총협회도 최 부총리의 발언 다음날인 지난 5일 “올해 임금인상률은 1.6% 안에서 조정해야한다”는 내용으로 회원사에 임금인상 자제를 권고해 정부의 임금인상 정책에 반대하는 의견을 냈다.[시사포커스 / 진민경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