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난여론 진화나선 홈플러스 사장, 반발 키우나
비난여론 진화나선 홈플러스 사장, 반발 키우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객정보 장사’ 논란에도 구체적 재발방지 시스템 구축은 아직
▲ 도성환 홈플러스 사장이 기자회견을 열고 ‘고객정보 장사’ 논란과 관련해 사과의 뜻을 밝혔다. 그러나 이 같은 도 사장의 발언이 소비자들의 불신을 완전히 잠재울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홈플러스

홈플러스가 고객들의 개인정보를 보험사에 넘기고 231억원에 달하는 불법 수익을 올려 소비자단체가 거세게 반발하고 있는 가운데, 도성환 홈플러스 사장이 기자회견을 열고 회사차원에서 공식적으로 사과했다. 그러나 그의 발언이 이미 엎질러진 물을 되 담는 계기가 될 수 있을지는 아직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10일 도 사장은 서울 소공로 플라자호텔에 마련한 기자회견장에서 “먼저 모든 국민들께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며 “이번 일을 잘못된 관행을 바로 잡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고 밝혔다.

도 사장은 “사법 절차를 진행 중이기 때문에 (경영진의) 입장을 다 말씀드리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생각한다”면서 “대표이사를 포함해 모든 임직원들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무엇이며 어떻게 하는 것이 사회와 행복한 성장을 만들어 나가는 길인지 많은 고민을 했고 새롭게 각오를 다졌다”고 말했다.

이어 “이 같은 일이 재발되지 않도록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면서 “장기불황, 소비위축, 대형마트 일요일 휴무 등에 따라 성장이 정체된 상황이지만, 위기 속에서 기회를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 檢 “도 사장, 개인정보 유출 직접 지시”

앞서 1월 30일 개인정보범죄 정부합동수사단(단장 이정수 부장검사)은 경품이벤트 명목으로 712만건에 달하는 고객들의 개인정보를 불법수집해 보험사에 판 혐의로 도 사장을 포함, 김모(61) 전 부사장, 현모(48) 본부장 등을 불구속기소했다. 당시 이승환 前 회장은 2013년 자리에서 물러난 점과 직접 사안을 보고받지 않은 점이 감안돼 처벌대상에서 제외됐다.

이외 보험사에 고객정보를 직접 넘긴 홈플러스 보험서비스팀 소속 전현직 팀장 3명과 이들로부터 고객정보를 불법 취득한 보험사 관계자 2명이 불구속기소 됐다.

당시 합수단 조사결과에 따르면 도 사장을 포함한 이들 임직원과 보험사 관계자들은 경품행사 시행 전 처음부터 응모 고객의 개인정보를 빼내려 계획했던 것으로 밝혀져 논란이 가중됐었다.

특히 도 사장과 이 전 회장은 경품조작과 개인정보 유출을 직접 지시하는 등의 정황이 적발돼 소비자들에게 충격을 줬다. 한 그룹의 오너가 소비자들의 개인정보를 ‘장사용’으로 여겼다는 소식에 소비자들은 분개했다.

◆ 심판저울에 오른 ‘홈플러스 도덕성’ 어디로 기우나?

도마 위에 오른 홈플러스의 도덕성은 소비자들의 뭇매를 피할 수 없었다. 소비자 단체들이 저마다 성명서를 발표하며 홈플러스를 비난했고, 불매운동을 촉구하는 움직임이 잇따랐다.

지난달 3일 한국소비생활연구원 소비자정책연구팀은 성명서를 통해 “홈플러스 사태와 같은 개인정보의 편법 수집과 불법 판매가 유지되어 온 것에는 솜방망이 처벌로 충분한 경각심을 주지 못한 정부의 책임이 크다고 생각된다”면서 “개인정보 유출 문제가 갈수록 상습화‧대형화 되어 가는 현상은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기업의 문제의식 부재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비판했다.

연구원은 “더 이상의 개인정보 유출 문제는 용납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정부와 기업의 근본적인 대책 마련 촉구 등 적극적인 행동(불매운동 등)을 다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지난 2일에는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소속 소비자단체 10곳이 서울 한국YWCA연합회에서 기자회견을 개최하고 “홈플러스에 대한 집단분쟁조정신청과 손해배상청구소송에 참여할 신청자를 모집한다”면서 “(이미) 33인 공동변호인단을 구성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소송은 고객 정보를 불법 매매하는 홈플러스의 행위에 경종을 울리는 동시에 소비자 피해를 보상받고 업계의 비윤리적 관행을 뿌리 뽑기 위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도 사장은 ‘고객정보 장사’논란으로 물의를 빚은 것에 대해 공식적으로 사과의 뜻을 표했지만, 이것이 소비자들 사이에서 이미 생겨나기 시작한 불신을 완전히 불식시킬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기업차원에서의 사과 뿐만 아니라 오너 개인으로서 개인정보 유출을 직접 지시한 점 등의 혐의를 받고 있는 것에 대한 반성이 선행돼야 됐던 것으로 보인다.[시사포커스 / 진민경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