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병호 국가정보원장 후보자는 16일 5·16 쿠데타의 정의와 관련된 질문에 즉답을 피했다. 5·16 쿠데타의 정의와 관련된 질의는 그간 청문회의 단골 질문 메뉴로 흔히 이를 인정하거나 답을 피하는 식으로 답을 한다. 이 후보자는 후자의 방식을 택한 것이다.
이 후보자는 이날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5·16은 쿠데타인가’라는 새정치민주연합 김광진 의원의 질의에 “그 부분에 대해서 제 인식을 말씀드려도 되겠느냐”라고 물은 후 “5·16을 규정하는 용어가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즉답을 피했다.
김 의원이 ‘후보자의 생각을 물어보는 것’이라고 거듭 물었지만 이 후보자는 “저는 나름대로 그 부분에 대한 제 인식이 있다”고 명확히 답을 하지 않았다.
이 후보자는 같은 당 박지원 의원이 ‘상식적으로 교과서에 기록된 5·16쿠데타를 잘 모르겠다고 답하는 건 솔직하지 않다’고 지적하자 “저는 역사적인 사건을 국가안보에 기여했느냐, 안 했느냐의 관점에서 보는 습관이 있다”면서 “국가안보를 강화한 역사적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그러자 박 의원이 ‘사사로운 생각’이라고 추궁하자 “연구하겠다”고 답하기도 했으며 ‘교과서를 무시하느냐’라는 지적에는 “죄송하다. (역사를) 부인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육사생도 당시 5·16쿠데타 지지 행진에 참석했던 것에 대해선 “그 때는 특별한 생각이 없었다”며 “그냥 나오라니까 나갔다”고 말했다.
17대 대선에서 박근혜 후보 캠프에서 외교정책 자문단으로 활동하고 18대 대선에서는 민주당과 문재인 후보를 비난하는 내용을 기고한 이력과 관련, 정치적 인물이란 지적에는 “저는 안보를 강조해왔다”며 “그것이 정치적으로는 이념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용산 참사 사건을 ‘폭동’에 비유한 자신의 기고문 표현에 대해선 “사려깊지 못했고 부적절했다”며 “상처입은 분이 있다면 죄송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다만 “전체 글의 취지는 (그렇지 않다.) 글 전체를 읽어달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