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완구 국무총리가 지난 12일 발표한 대국민담화를 통해 ‘부패와의 전면전’을 선언하면서 정치권과 재계가 바짝 긴장하고 있는 가운데, 박근혜 대통령도 17일 “우리 사회 각 부문에서 켜켜이 쌓여온 고질적인 부정부패에 대해 단호한 조치가 필요하다”며 부패척결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밝히고 나섰다.
박근혜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경제 살리기에 있어서 우리가 방치할 수 없는 것이 부정부패”라며 “이번에야말로 비리의 뿌리를 찾아내 그 뿌리가 움켜쥐고 있는 비리의 덩어리를 들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특히, 방산비리 문제와 관련해 “우리 군의 무기 수주-납품과 관련된 각종 비리가 속속 확인되고 있어 국민들에게 큰 충격과 실망을 안겨주고 있다”며 “이런 비리들은 오랫동안 쌓여온 심각한 적폐들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담보로 해서 사리사욕을 채우려 했던 범죄”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그러면서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드는데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바로 오랫동안 쌓여온 부정부패 등 각종 적폐를 청산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국가기강을 흔들고 국민의 세금을 개인의 사욕을 위해 남용하는 것은 결코 있을 수 없는 범죄이자 국가경제를 뒤흔드는 일”이라며 “더 이상 국민의 안전을 희생하고 혈세를 축내면서 공정한 경쟁과 보상을 왜곡하는 부정부패를 ‘늘 그래왔던 관행’이나 ‘이것은 어쩔 수 없는 사업방식’이라는 식으로 방치할 수는 없다”고 단호하게 말했다.
박 대통령은 거듭 “경제를 살리기 위해 이것은 우리가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일”이라며 “사회에 만연된 이런 관행을 바로잡지 않는다면 우리 경제를 어떻게 살려냈다 하더라도 제자리걸음을 하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앞서 부패와의 전쟁을 선언했던 이완구 국무총리에 대해 “어떤 것에도 흔들리지 마시고 국민들과 나라경제를 위해 사명감으로 반드시 해주시길 바란다”며 “범정부적인 역량을 결집해달라”고 주문했다. 이완구 총리의 ‘부정부패 척결’ 대국민담화가 사실상 박근혜 대통령의 의중이 담겼던 것으로 풀이되는 대목이다.
한편, 박 대통령은 이밖에 공무원연금개혁 문제와 관련해 “지금은 고통스럽지만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미래세대를 위해 반드시 이뤄내야 할 과제”라며 “당초 여야가 약속한 시간 내에 개혁방안을 마련해 입법화할 수 있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어, “시작이 반이라는 말이 있듯, 3~4월 중 공공부문과 노동시장 개혁이 첫 성과를 거두게 된다면 다른 개혁과제들도 잘 풀려나갈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며 노동시장 및 공무원연금개혁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중동 4개국 순방 결과에 대해 설명하면서는 “중소-중견기업들에게 믿을 수 있는 비즈니스 파트너를 찾아 주는 정보 지원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것”이라며 “오래 전부터 현지 정보와 인맥이 부족한 기업들을 상대로 중간 브로커들의 횡포가 많았는데 앞으로는 정부가 직접 나서서 기업들이 중동에 진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