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정 칼날, 포스코에서 신세계·동부로…재계 ‘덜덜’
사정 칼날, 포스코에서 신세계·동부로…재계 ‘덜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방위적 확산될까 노심초사…검찰 의미 축소에도 불안 확산
▲ 검찰이 포스코에 이어 신세계, 동부 등 다른 그룹에도 수사를 확대하면서 재계가 불안에 떨고 있다. 사진 / 홍금표 기자

이완구 신임 국무총리가 ‘부패와의 전쟁’을 선포한 가운데 검찰의 칼 끝이 포스코에 이어 신세계그룹과 동부그룹을 향하면서 재계가 불안에 떨고 있다.

17일 서울중앙지방검찰청에 따르면 최근 특수1부(부장검사 임관혁)는 신세계 이명희 회장과 정용진 부회장 등 총수 일가의 비자금 조성 의혹을 규명하기 위해 계좌 추적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 관계자는 금융정보분석원(FIU)가 신세계의 비정상적 거래 행위를 포착해 검찰에 넘긴 의심거래보고(STR) 자료를 확인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현재 서울중앙지검 공정거래조세조사부(부장검사 한동훈)도 동부그룹 김준기 회장의 비자금 조성·횡령에 대한 수사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검찰 관계자는 동부그룹에 대해서도 FIU로부터 자료를 넘겨 받아 의혹을 확인하고 있다고 답했다.

신세계는 이명희 회장과 정용진 부회장 등이 법인 계좌에서 발행된 수표를 물품 거래 대신 현금화해 총수 일가 계좌로 일부를 입금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대주주가 법인 재산을 개인적인 목적으로 사용했다는 의혹이다.

이 같은 신세계의 자금 흐름은 이미 지난해 5월 금융당국이 포착해 검찰에 통보했다. 하지만 정부의 ‘경제살리기’ 기조 속에 최근까지 내사 단계에 머물러 있다가 최근 수사가 급물살을 타기 시작했다.

신세계 측은 “비자금이 아니라 정상적인 비용 처리였다”면서 “지난 1월 검찰 조사에서 관련 사실을 충분히 소명했고 의혹이 해소됐다”고 설명했다. 신세계는 “경조사비나 격려금 등 법인카드로 결제할 수 없는 부분의 지출을 위해 대략 70억원 규모의 현금을 만든 것이며 비자금과는 무관하다”고 해명했지만, 검찰은 현금화된 돈이 총수 일가로 흘러갔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동부그룹 역시 검찰의 수사선상에 본격적으로 올랐다. 검찰에 따르면 동부그룹 김준기 회장은 그룹 내 투자회사 등으로부터 부외자금(장부 없이 이뤄지는 거래를 통해 조성된 자금) 수백억 원을 횡령한 정황이 포착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이 자금 중 상당액이 김준기 회장의 장남과 장녀에 흘러간 것으로 보고 있다. 동부그룹 측에 따르면 이 사건은 2년여 전부터 내사 사건이 계류돼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김준기 회장의 동서인 동부CNI 윤대근 회장의 자금 횡령 정황도 확인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윤대근 회장이 2005~2008년 동부하이텍 대표이사로 있으면서 별도 개인계좌를 통해 수억 원을 주기적으로 횡령, 10억여 원 안팎의 회삿돈을 빼돌렸다고 의심하고 있다.

동부그룹 관계자는 “경영권 승계는 이미 오래 전에 이뤄졌으며 (비자금 횡령)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면서 “무리하게 비자금을 조성해 지분을 취득하는 것은 말도 안 된다”고 해명했다.

다만 검찰은 신세계·동부를 비롯한 일련의 기업들에 대한 수사 동향에 대해 일상적인 업무의 일환이라며 지나친 의미부여를 두는 것이 부담스러운 눈치다. 서울중앙지검 관계자는 이날 “기존에 있던 사안을 계속 살펴보고 있는 것”이라며 특별한 의미가 없음을 강조, 의미를 축소했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