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정치민주연합의 대표와 정책위의장이 입법화된 정부 안을 제시하라는 것과 관련해 19일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는 “판을 깨려는 꼼수를 부리고 있다”고 비판하고 나섰다.
유승민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주요당직자회의에서 “국무회의를 통과한 안을 가져오라는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이런 식으로 할 것 같으면 당초부터 대타협기구를 만들 이유가 전혀 없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우리가 야당이나 공무원 노조의 의견을 듣고 대타협기구를 만들었고 또 그 자리에서 야당과 공무원노조의 의견과 안을 제시하면 충분히 이야기를 듣고 공무원노조와 정부가 다 참여하는 가운데 공무원연금개혁안을 만드는 것이 대타협기구의 근본 취지”라면서 “야당이 청와대 3자회동이후에 공무원연금개혁에 대해 쏟아내는 말들은 판을 깨고 자꾸 지연시키려는 꼼수”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유 원내대표는 “야당이 계속 이렇게 꼼수로 공무원연금개혁을 저지하려고 한다면 4.29재보선에서 국민께서 야당을 심판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특히 그는 “여야 협상은 더 이상 대상이 될 수 없다”며 “대타협기구는 3월28일까지 종료를 확실히 하겠다. 100% 합의되면 특위에서 의결하고 합의가 안 되더라도 최대한 합의해서 못한 것은 쟁점을 넘기든 특위에 넘기는 것으로 정리하겠다”고 강조했다.
원유철 정책위의장도 “공무원연금개혁대타협기구의 활동시한이 10일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야당이 입법화된 정부안을 운운하면서 찬물을 끼얹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공무원연금개혁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대적 과제”라고 촉구했다.
그는 그러면서 “공무원연금을 지금 개혁하지 않으면 머지않아 재정안정을 위해 훨씬 더 고통스러운 선택에 직면할 수도 있다. 공무원연금개혁 무산시도는 국민의 고통을 선택한다는 의미”라며 “현재 야당은 활동기간 90일 중 지금까지 80일 동안 개혁안이 있다고만 하고만 하고 개혁안을 내지 않고 있다. 5월 2일까지 공무원연금개혁을 본회의에서 처리하기로 약속한 만큼 반드시 약속을 지키기를 다시 한 번 강력히 촉구 한다”고 목소리를 냈다.
공무원연금개혁 특위 간사인 조원진 의원은 또한 “대타협기구 연장은 없다는 것이 여야 공통된 인식”이라면서 “어제 공무원단체 중 한 분이 28차까지 회의에서 쟁점이 다 나왔기 때문에 막후 교섭으로 타결하는 게 좋겠다고 했다”고 설명했다.
조 의원은 이어 “노무현 정부 때 공무원연금개혁을 놓고 고민할 때 그 당시 문재인 대표가 하지 않는 쪽으로 결론 내렸던 것으로 안다”면서 “야당에서 오해 여지 있는 건 안 하는 게 좋을 것”이라고도 말했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