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외교비리 의혹’ 경남기업, 법정관리 가시화 되나?
‘자원외교비리 의혹’ 경남기업, 법정관리 가시화 되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는 23일 추가자금 지원 안건 부의 후 26일 최종 결정
▲ 기업개선작업에 들어간 경남기업에 법정관리 및 상장폐지 가능성이 제기됐다. 앞서 성회장은 경영권을 내려놓으면서 채권단에게 추가 자금지원을 당부했지만 현재 채권단은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경남기업

기업개선작업(워크아웃)에 들어간 경남기업을 두고 법정관리 가능성을 제기하는 목소리들이 많다. 현재 경남기업의 채권단은 오는 23일 추가자금 지원 안건을 부의한 뒤 26일 최종 결정한다고 밝힌 상태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경남기업 채권단은 이날 오후 3시부터 서울 중구 신한은행 본점에서 채권단 회의를 개최하고 경남기업에 대한 추가자금 지원 여부 등을 논의했다. 그러나 부정적인 의견이 지배적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회의에는 전체 채권단 44곳 중 31곳이 참석했다.

이날 회의는 주채권은행이 채권단에게 경남기업의 최근 상황을 설명하고, 경남기업 회생과 관련해 추가자금 투입 가능성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이후 채권단은 2시간여의 논의를 거쳐 경남기업에 대한 추가자금 지원 여부를 오는 23일 안건으로 상정해 부의하기로 결정했다. 오는 26일까지 채권단은 서면을 통해 지원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상정된 안건의 주요 내용은 1100억원 규모의 신규 자금과 90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CB) 출자전환이다. 각 안건별로 채권단 75% 이상의 동의를 받아야 가결되는데, 만약 채권단이 추가자금 지원에 반대하면 경남기업은 상장폐지와 법정관리에 들어갈 수밖에 없는 상왕이다.

현재 경남기업에 대한 의결권 비율은 수출입은행(26%)이 가장 높고 이어 서울보증보험(19%)과 신한은행(18%), 무역보험공사(11%), 산업은행(6%), 국민은행(4%), 농협은행(4%), 우리은행(4%) 등 순이다.

한편, 지난 17일 성완종 경남기업 회장은 “회사와 직원들을 살릴 수 만 있다면 아무런 조건 없이 내가 가진 모든 것을 내려놓겠다”며 경영권 및 지분 포기 각서를 채권금융기관협의회와 신한은행에 제출한 바 있다. 그러나 지금 채권단은 추가자금 지원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시사포커스 / 진민경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