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 심판론’ 부각되는 이상한 재보선
‘야당 심판론’ 부각되는 이상한 재보선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새누리 ‘종북 심판론’에 정동영-천정배 ‘야권 교체론’까지
▲ 재보궐선거는 대게 정부여당에 대한 중간평가 성격으로 치러진다. 이 때문에 재보선은 여당의 무덤으로 불리기도 한다. 하지만, 이번 4.29재보선에서는 정부여당 심판론보다 새정치민주연합에 대한 심판론이 더 부각되고 있다. 사진 / 새정치민주연합

재보궐선거는 대게 정부여당에 대한 중간평가 성격으로 치러지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번 4.29재보궐선거를 앞두고 이런 정부여당 심판론은 뚜렷하게 부각되지 않고 있다. 정동영-천정배 전 장관이 출마하면서 오히려 ‘제1야당 심판론’이 더 부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더해 새누리당도 방어적 자세가 아닌, 공격적 자세로 이번 재보선에 임하고 있다. 보통 재보궐선거가 여당의 무덤이라고 불리는 만큼, 여당은 다소 수세적 자세를 취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이번 재보선만큼은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통합진보당 해산에 따라 치러지게 된 재보궐선거라는 의미가 크기 때문이다. ‘종북 척결’ 이슈가 이번 재보선 판의 주요 흐름이 되는 것은 어쩔 수 없다는 의미다. 그런데 새누리당은 ‘종북’만 가지고 선거에 임하지 않고 있다. 여기에 절묘하게 지역경제 낙후 문제를 엮어서 공격의 소재로 사용하고 있다. 종북이라는 이념적 문제가 왜 유권자들의 실생활과 무관하지 않은지 설득력 있게 다가서고 있는 것이다.

새누리당 권은희 대변인은 4일 현안 브리핑을 통해 “구 통합진보당 해산으로 야기된 이번 선거는 종북 세력에 대한 심판과 지역 일꾼 선출이라는 의의가 있다”며 “종북세력이 이념논쟁에 매몰되는 동안 지역 주민은 뒷전이었고 지역경제는 낙후됐다”고 말했다. 야권 심판론을 제기한 것이다.

그러면서 “선거승리를 위해 통합진보당과 야합하고 이들의 국회진출을 도왔던 새정치민주연합은 이번 선거에도 여전히 반성 없이 지역경제와는 동떨어진 청사진을 그리고 있다”며 “새정치민주연합이 내세운 공약을 살펴보면 최저임금 인상, 국공립어린이집 확대 등 지역 기반이 아닌 국가정책 중심의 공약이 남발되고 있다. 가히 대선급 공약들”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여당의 협조 없이 새정치민주연합 단독으로 할 수 있는 일들도 아니다. 이번 재보선에 나온 후보들이 할 일은 거의 없다”며 “4.29 재보선을 앞두고 새정치민주연합이 내놓은 공약들을 보면 그 허황함에 웃음이 날 뿐”이라고 일갈했다.

또, “새정치민주연합은 이 공약을 4석을 모두 차지할 때 지킬 것인지, 아니면 한 석이라도 차지하면 지킬 것인지, 아니면 모두 패배하더라도 지킬 것인지 국민들께 분명히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 대해 답해주기 바란다”고 요구하기도 했다.

새정치민주연합 설훈 의원의 ‘천안함’ 발언을 두고도 공격을 이어나갔다. 권 대변인은 설훈 의원에 대해 “민주주의의 이름 뒤에 숨어 무책임한 발언을 쏟아내고 있다”면서 “아직 무언가 있을 것이라는 막연한 의혹제기가 우리 국력을 낭비시키고 우리 사회를 갉아 먹고 있다. 설훈 의원은 정치인이기 때문에 이런 말을 해야 한다고 말했는데 합리적인 근거 없이 국가적 혼란을 초래하는 것은 결코 정치인의 역할이 아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러면서 “우리 국군을 모욕하고 호국영령들을 욕보이는 정당의 후보는 인천 서구 강화을 주민에게 표를 달라고 말할 자격이 없다”며 “천안함 음모론을 확대 재생산하는 정당, 천안함 폭침이 북한 소행인지 아닌지 떳떳하게 말하지 못하는 정당의 후보는 인천 서구 강화을 주민을 대표할 자격이 없다”고 강조했다.

권 대변인은 문재인 대표를 향해 “무엇을 하고 있느냐”면서 “안보정당을 표방하며 천안함이 북한의 소행이라고 인정해 놓고도 야당 교육문화위원장의 교과서 게재 반대 의견에 대해 일언반구가 없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설훈 의원의 주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입장을 분명히 밝힐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특히, 문재인 대표에 대해 “천안함 폭침이 북한 소행임을 부정하는 설훈 의원 발언에 대한 공식 입장을 4.29 재보선이 치러지는 인천 서구 강화을 주민 앞에 확실히 밝혀야 한다”고 거듭 촉구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