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현대자동차그룹이 10조원을 들여 매입한 삼성동 구 한국전력 부지 개발을 놓고 강남구가 서울시의 결정에 거세게 항의했다.
5일 강남구(구청장 신연희)는 5일 보도자료를 통해 서울시가 이해당사자인 강남구와 사전 협의 없이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을 확대 추진하고 있다며 강력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강남구와 서울시의 마찰은 구룡마을, SETEC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다.
강남구는 “도시계획시설인 ‘운동장’은 도시관리계획상 지구단위계획구역에 포함된다 하더라도 현행 국토계획법령상 지구단위계획으로 결정할 수 없는데도 서울시가 무리하게 지구단위계획구역을 확장하려는 저의가 무엇인지 궁금하다”며, 현대차그룹부지의 공공기여를 강남구가 아닌 타 지역에 사용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했다.
강남구는 또 사전협상 기회가 박탈당했다는 점에 대해서도 아쉬움을 표시했다. 강남구는 “서울시가 지난달 13일 ‘도시계획변경 사전협상 운영지침’을 개정하면서 ‘자치구 도시관리국장 및 관련 부서장’을 배제시킨 점과 사전협상 절차 중 공식적으로 진행되던 자치구 사전협의와 주민설명회 조항마저 삭제했다”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이어 강남구는 현대차그룹의 공공기여는 개발 부지가 강남구에 속하는 만큼, 개발 밀도 증가에 따른 강남구민의 피해를 고려하면 영동대로 지하공간 개발, 아셈로 지하주차장 조성 등 현대자동차그룹부지 일대와 교통 지옥인 밤고개로 확장, 탄천 정비, 올림픽대로 및 동부간선도로 진․출입로 개선, SETEC 부지내 전시․공연장 등 수많은 강남구 내에 산적된 취약한 기반시설을 보완하는데 사용해야 하는 것이 원칙이라고 주쟁했다.
강남구 관계자는 “현대자동차그룹부지 개발로 인한 공공기여는 해당 지역의 부족한 기반시설 정비 등에 활용해야한다”며 “서울시는 개발밀도 증가로 인한 해당 자치구의 피해를 무시하는 지구단위계획구역 확장 추진을 즉각 중단하고, 조속히 현대자동차그룹부지 개발에 착수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