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여정부 당시 특별사면에 관여했던 이호철 민정수석과 박성수 법무비서관, 오민수 민정비서관, 문용욱 부속실장 등은 고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의 특별사면에 대해 “참여정부는 거리낄 어떤 의혹도 없다”며 전면 반박했다.
이들은 23일 성명서를 발표하고 “사면제도 자체를 문제 삼으면 모르겠으나 당시 야권 인사가 무리하게 포함된 것을 전부 참여정부 특혜로 몰아가는 것은 곤란하다”라며 “원인과 결과를 따져야 합니다. 성 전 회장 사면의 특혜성 여부는, 당시 권력의 정점에 있던 이명박 이상득 두 분에게 물어봐야 할 사안”이라고 밝혔다.
이어 “새누리당이 성완종 게이트 본질을 덮기 위해 없는 의혹까지 만들어 내고 있다”라면서 “자신들의 비리추문을 덮기 위해 성완종 전 회장 사면에 참여정부를 걸고넘어지는 것을 보며 분노를 느낀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그는 “위기를 모면하기 위해 본질을 흐리지 말 것을 새누리당에 엄중하게 경고한다”라면서 “새누리당이 계속 이렇게 ‘물 타기’를 한다면 우리도 명예를 지키기 위해 이명박 인수위의 무리한 행태들을 낱낱이 밝힐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또한 이들은 “성 전 회장은 사면을 받기도 전에 이명박 인수위 과학비즈니스TF 위원에 내정됐다. 인수위가 성 전 회장 사면을 추진하면서 이를 전제로 인수위가 챙긴 인사였다는 건 자명하다”라면서 “의혹이 있으면 이명박 인수위가 답해야 합니다. 당시 인수위나 새 정권 핵심 실세 중 누가 청와대나 법무부에 성완종 전 회장 사면을 부탁했는지 조사하면 밝혀질 일”이라고 강조했다.
더불어 이들은 “참여정부 마지막 사면은 새 정권(이명박 정권)이 들어서기 직전에 이뤄졌다. 정권이 곧 바뀌는 상황에서 새 집권당과 인수위 요구를 반영하는 건 불가피하다”라며 “특히 이명박 대통령 최측근인 양윤재 전 서울시 정무부시장(이명박 전 시장 시절 부시장)의 경우 청와대의 강력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인수위 요청으로 포함시키지 않을 수 없었던 케이스다. 성 전 회장 역시 막판에 끼어들어온 무리한 경우였지만 양해하지 않을 수 없었던 사안이다”라고 반박했다.
이들은 여당의 공세에 대해 “확인 결과 참여정부 청와대에서 사면에 직간접으로 연관이 있는 부서(민정수석실, 법무비서관실, 정무비서관실, 부속실 등) 어디에 누구도 성 전 회장과 친분이 있거나 연고가 있는 사람은 없었다. 특별히 챙겨야 할 이유가 전혀 없는 인사”라면서 “성 전 회장은 특별사면 전에 이미 이명박 대통령직인수위 자문위원에 위촉됐다. 참여정부의 특혜 의혹 운운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비판했다,
당시 야당인사가 포함된 것에 대해서 “어느 정권이든, 사면은 탕평책입니다. 탕평과 대화합을 도모하는 차원이니만큼 여와 야, 정치인과 기업인 등을 두루 망라하는 게 일반적입니다. 즉 당시 야당 인사들이 고루 포함되는 건 지극히 당연하다”라면서 “만일 당시 야당인 한나라당 인사들을 배제했다면 대화합 취지에도 어긋나고 ‘정권 말 자기사람 챙기기’ 비판을 면치 못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특별사면에 포함된 인사는 성 전 회장을 포함해 강신성일 전 한나라당 의원, 이기택 전 한나라당 상임고문, 박혁규 전 한나라당 의원, 양윤재 전 서울시정무부시장 등 다섯 명의 한나라당 인사들이 함께 사면을 받은 것도 같은 차원이라고 부연했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