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29 재보선을 사흘 앞두고 있는 가운데, 26일 새정치민주연합은 새누리당이 다시 들고 나온 ‘색깔론’에 대해 강하게 비판하며 공세를 강화하고 나섰다.
김성수 대변인은 이날 오전 현안 브리핑에서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관악을 유세에서 지난 18대 총선에서 옛 통진당과의 통합을 거론한 것에 대해 “김무성 대표의 종북 몰이, 색깔론은 습관적으로 재발하는 치명적인 불치병이 분명하다”고 비판했다.
이어 “김무성 대표는 지난 대선 때에도 고 노무현 대통령이 김정일 위원장에게 NLL을 갖다 바쳤다는 이른바 찌라시 발언으로 곤욕을 치렀다”며 “ 전월세 대란은 좌파정권 탓이고 제주 강정마을 해군기지 반대는 종북 세력들의 선동이며 친일 독재 미화 논란을 일으킨 교학사 교과서 비판은 좌파의 준동이다”라고 김 대표의 발언을 거론했다.
이에 대해 김 대변인은 “자신들에게 불리하거나 자신들을 비판하면 무조건 종북, 좌파 색깔론이다”라면서 “색깔론은 국민을 분열시키는 저급한 구태정치의 전형이다. 수십년간 하도 우려먹어서 이제는 아무 맛도 안 나는 맹물 사골 국물이다”라고 비판했다.
그는 “아무리 선거가 급해도 그렇지 대권을 꿈꾸는 집권당 대표라면 제발 자중하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성완종 리스트 파문고 관련된 특검에 대해서도 “새누리당이 친박 권력형 비리 게이트와 관련해 언제든지 특검을 받을 준비가 돼있다고 큰소리치더니 정작 특검을 제안하자 당분간 합의가 어렵다며 발을 빼고 있다”고 비난했다.
김 대변인은 이어 “친박 게이트의 구체적인 정황 증거들이 쏟아지고 있는 데도 검찰은 친박 게이트 8인방에 대한 본격적인 수사에 들어가지도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여기에 황교안 법무부장관은 야당에 대한 먼지떨이식 기획 수사를 대놓고 주문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김 대변인은 해외 자원외교 비리에 대한 국정조사가 새누리당의 방해로 무산됐다고 주장했다. 그는 “4자방 비리 말고도 이명박 정부 시설 박범훈 청와대 수석이 연루된 중앙대 게이트까지 이명박 정권의 권력형 비리가 연일 터져나오고 있다”며 “새누리당은 진상 규명을 바라는 국민들의 요구를 외면한 채 이명박 정권을 더 이상 감싸고 돌아서는 안 된다”고 상설 특검 도입을 강조했다.
한편, 건강보험료와 관련해서도 “‘4월의 세금폭탄’으로 778만명의 직장인들이 건보료가 평균 24만8000원이나 추가 부과된 월급봉투를 받아들었다”라면서 “1월에는 담뱃세, 2월의 연말정산에 이어 4월에는 건보료 정산까지 ‘꼼수 서민증세 3종세트’가 현실화 됐다”고 거듭 지적했다.
김 대변인은 “박근혜 정부의 선거용 ‘폭탄 쪼개기 대책’은 국민을 기만하고 우롱하는 것에 다름 아니다”면서 “박근혜 정부는 서민 지갑만 터는 ‘꼼수증세’를 중단하고 공평하고 합리적인 건보료 부과체계와 조세체계를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