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호아시아나그룹을 사실상 통째로 얻을 수 있는 기회인 금호산업 인수전 본입찰이 마감된 가운데, 호반건설이 시장의 예상에 크게 못 미치는 6000억원 대의 금액을 제시하며 단독 입찰했다.
2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 금호산업 본입찰이 마감된 가운데, 후보자 5곳 중 4곳의 사모펀드가 모두 입찰을 포기하고 호반건설이 단독 입찰했다. 호반건설이 산업은행에 제출한 인수금액은 6200억원으로 알려졌다.
당초 시장의 예상치를 크게 밑도는 금액이 제시되자 채권단 및 금호아시아나그룹의 대응 방향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산업은행 등 채권단이 매각에 나선 지분은 57.5%에 해당하는 총 1955만주로 28일 종가 2만2850원을 기준으로 환산하면 4467억원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금호산업이 금호아시아나그룹의 지주사 역할을 하고 있는 아시아나항공의 최대주주라는 점에서 크게 프리미엄이 붙어 최소 8000억원대에서 많게는 1조원까지도 제시될 것으로 예상해 왔다.
이날 호반건설은 시장의 예상과 달리 경영권 프리미엄을 크게 붙이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호반건설은 28일 종가인 2만2850원에 1주당 8850원의 프리미엄을 붙인 3만1700원 정도로 계산해 6200억원 정도를 제시했다.
호반건설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면 우선매수청구권을 가지고 있는 박삼구 회장은 한 달 내로 인수가격을 제시해야 한다. 자금난이 우려되고 있는 박삼구 회장이 호반건설과 같은 금액을 제시하면 금호산업을 되찾을 수 있게 되고, 같은 금액을 제시하지 못하면 호반건설이 금호산업의 새로운 주인으로 등극하게 된다.
채권단이 판단한 적정 인수 금액은 9000억원 이상이었다는 점에서 매각 작업 자체가 다시 추진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채권단은 매각을 진행하면서 제안가가 지나치게 낮을 경우 새롭게 매각 작업을 추진할 수도 있다는 입장을 비쳐 왔다. 또한 박삼구 회장과 직접 응찰 가격을 논의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채권단은 이날 오후 7시 미래에셋, 국민은행, 농협, 우리은행, 대우증권, 산업은행 등 6개 기관으로 구성된 채권단 운영위원회를 열고 호반건설의 인수 가격에 대한 수용 여부를 논의할 예정이다. 운영위원회가 결정하기 부담스럽다고 판단되면 모든 채권단이 모이는 전체회의를 통해 제안 수용 여부가 결정될 가능성도 있다. 우선협상대상자를 뽑지 않기로 하면 입찰은 무효로 돌아간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