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서을 보궐선거에서 승리한 무소속 천정배 의원은 호남신당론과 관련해 “내년 총선 때까지 광주를 중심으로 해서 호남에서 ‘뉴DJ’, DJ를 이을 만한 그런 인재들을 널리 모으고 또 확실한 비전을 가진 세력을 만들어서 새정치민주연합과 경쟁을 할 수 있는 구도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천정배 의원은 30일 CBS라디오 <박재홍의 뉴스쇼>와 인터뷰에서 “그럼으로써 우리 유권자들께 실질적인 선택의 권리를 드리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그는 “당까지는 모르겠고 상황을 더 봐야겠지만 여러 형태로 신당 창당 움직임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라고 덧붙였다.
천 의원은 ‘호남발 신당’ 등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그는 “(신당을) 호남당(이라고 부르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본다”면서 “호남발 신당 등에 대해 저는 찬성하지 않는다. 호남이냐 아니냐가 문제가 아니라, 확실한 야당다운 전국적인 개혁정당으로 야권을 쇄신하느냐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호남을 강조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호남이 우리나라 개혁정치의 선도적인 역할을 해왔기 때문에 그 일을 하자는 것이지, 호남에 매몰돼서 뭘 하자는 뜻은 아니다”라면서 “호남의 문제는 호남이 극히 소외되고 낙후되어 있기 때문에,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우리 자신의 정치력을 만들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천 의원은 새정치연합 내 비주류 및 동교동계와의 연합 가능성에 대해 “그런 구상을 가지고 있는 건 아니지만, 어느 정당에 속해있든 당 안팎에 기성 정치하는 분들 중에서도 좋은 역할을 하실 분들이 계실 것”이라면서 “새로운 신인들도 많이 모으고 키워서 새로운 세력을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천 의원은 4·29 재보선에서 새정치민주연합의 패인과 관련해 “성완종 리스트 이후에 부패에 대한 국민적 심판 분위기는 매우 강력했지만 제대로 된 심판을 이끌어야 할 야당의 무능과 구태의연함이 컸다”면서 “특히 서울 관악을, 성남 중원은 야당이 질 수가 없는 곳인데 공천이나 여러 절차가 구태의연했고 계파 패권을 넘지 못했다”라고 주장했다.
천 의원은 또 “야권이 전체적으로 하나되지 못해 수권세력으로서의 새로운 모습을 못 보여준 것이 패인이라고 보고 있다”고 지적했다.
천 의원은 새정치연합 내 계파 문제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그는 “486계파도 패권적 폐해가 심각하고 비노라는 계파는 과연 있는지 없는지도 잘(모르겠다)…거기는 무슨 비전같은 건 전혀 없고 더 심각한 지리멸렬한 사람들을 비노라고 부르는 것 같다”면서 “당 자체로서 도저히 쇄신이 불가능한 상태에 와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아울러 문재인 대표의 책임론과 관련해선 “당내 문제에 대해서 과거만큼 이야기할 수는 없다”면서도 “당을 이끄는 분들이 확실히 성찰하는 모습 또 그에 따른 쇄신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역설했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