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정치민주연합 주승용 최고위원이 8일 지도부 총사퇴를 재차 촉구했다.
이날 오전 사퇴 의사를 밝히고 최고위원회의에서 퇴장했던 주 최고위원은 직후 입장 자료를 발표, “답변을 기다렸으나 돌아온 것은 폭언이었다”며 “국민과 당원이 요구하는 친노 패권정치 청산에 대한 입장 표명이 없으니 이제는 물러나자는 것”이라며 지도부 총사퇴를 주장했다.
주 최고위원은 “현 지도부가 물러나면 마치 큰일일도 날 것처럼 주장하는데 이치에 맞지 않다”며 “그럼 김한길, 안철수 대표는 물러나도 별일이 없어서 그렇게 책임지고 물러나라고 한 것이냐”고 물었다.
주 최고위원은 이어 “그 때의 기준과 지금의 기준이 달라진 것인가, 되묻지 않을 수 없다”며 “이것이 바로 패권정치의 극단적인 모습”이라고 지적했다.
주 최고위원은 또 “질 수 없는 선거를 져 놓고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다면 누가 이 당에 희망을 걸겠느냐”며 “계파 패권정치 청산 없이는 총선도 어렵고 대선도 어려워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앞서 주 최고위원은 지난 4.29 재보선 패배 직후 비공개 최고위원회에서 문재인 대표에게 사퇴 의사를 표명했지만 동료 최고위원들의 만류로 고심을 거듭해왔다.
주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선거에 패배하고 나서 (지도부가 사퇴하지 않고) 그대로 있는 것도 하나의 불공평이라고 생각한다” 등의 발언을 내놓았는데 정청래 최고위원이 “(주 최고위원이 최고위원직을) 사퇴할 것처럼 해놓고 공갈치는 게 더 문제”라고 비난하자 이에 항의하면서 “사퇴한다. 모든 지도부들 그렇게 해야 한다”며 회의장을 박차고 나섰다.
이 같은 사태와 관련, 문재인 대표는 이후 “지금은 우리 당의 단합이 무엇보다 중요할 때이고 오늘 발언은 공개적인 자리에서 말하는 것은 다소 부적절했다”고 말했다.
주 최고위원고 마찰을 빚었던 정청래 최고위원은 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내 발언은) 사퇴하란 뜻은 아니었다”면서도 “(주 최고위원에게) 사과할 의향은 없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