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정치민주연합 정청래 최고위원이 주승용 최고위원을 향해 “사퇴할 것 처럼 공갈친다”며 맹비난하면서 감정싸움이 최고조로 치달았다.
주승용 최고위원은 8일 국회에서 열린 회의에서 모두 발언에서 재차 ‘친노 패권주의’를 언급하며 재보선 참패에 대한 지도부 책임론을 제기했다.
이에 정청래 최고위원은 “(주 최고위원이 언급한)공개·공정·공평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면서도 “그런데 사퇴하지도 않으면서 사퇴할 것처럼 ‘공갈’을 치는 게 더 문제다. 자중자애하고 단결하는 데에 협조했으면 좋겠다”고 맹비난했다.
그러자 주 최고위원은 “공개석상에서 이런 말을 쓰는 것은 정말 치욕적이다. 세상을 이렇게 살지 않았다”며 “제가 아무리 무식하고 무능해도 그런 식으로 당원들의 대표인 최고위원에게 할 말은 아니다”고 반발했다.
그는 이어 “저는 지금까지 공갈을 치지 않았다”며 “나는 사퇴한다. 모든 지도부들 사퇴해야 한다”고 말한 뒤 자리를 박차고 회의장을 나갔다.
이같은 상황에 대해 문재인 대표는 “지금은 우리 당의 단합이 무엇보다 중요할 때”라며 “오늘 있었던 발언은 우리끼리의 자리라면 몰라도 공개적인 자리에서 하는 것은 다소 부적절했다고 생각한다. 유감스럽다”고 질책했다.
정 최고위원은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주 최고위원이 문 대표를 비판하는 것도 자유고, 제가 옳지 못한 주 최고위원을 비판하는 것도 제 자유”라며 “사과할 계획 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또 “계속 사퇴 카드로 당 단합을 해치는 것은 옳지 못하다는 생각을 가질 수밖에 없다”며 “광주 재보선 패배를 얘기하는데, 본인이 (광주 지역) 책임 최고위원이다. 본인이 책임지는 지역에서 패배했으면, 본인이 먼저 어떻게 할 것인가를 이야기해야지 왜 뜬금없이 ‘친노 패권주의’를 이야기하느냐”고 거듭 비판했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