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회찬 전 정의당 대표가 8일 ‘성완종 리스트’에 거론된 홍준표 경남도지사가 한 달이 지난 뒤에야 검찰 소환이 이뤄진 것과 관련해 “한 달 전과 (증인, 관계자 등)달라진 게 없기 때문에 왜 이렇게 늦춰졌느냐에 대한 의문이 사실은 있다”고 밝혔다.
노회찬 전 대표는 이날 CBS라디오 ‘박재홍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4월 29일 재보궐 선거나 또는 4월 27일 (대통령) 귀국 시점까지 수사의 속도를 좀 조정한 게 아닌가”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더 중요한 건 오늘 출두하게 되는 홍준표 지사에 대한 구속 여부나 또는 수사 처리 방식에 대해서 평가를 해야 되지 않나 싶다”고 덧붙였다.
증거수집과 사실 확인 차원 등으로 홍 지사의 소환이 늦어졌다는 검찰 측의 입장에 대해 “검찰 말을 믿고는 싶은데, 상식적으로 생각할 때는 속도가 대단히 느린 것은 사실”이라면서 “ 여러 가지 정치적 고려와 판단과 속도조절을 한 게 아닌가”라고 말했다.
소환이 늦춰지면서 리스트 당사자들의 증거 인멸이나 알리바이를 만드는 데 충분한 시간을 주고 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증거인멸 시도는 분명히 있었던 것으로 보이고 용납하기 힘든 상황”이라며 “이 부분에 대해 엄격한 수사가 병행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리스트에 거론된 8명 가운데 홍 지사가 가장 먼저 소환되는 데 대해서는 “8명 중에서도 돈 준 사람이 명확하게 적시된 것은 홍 지사 건이다. 먼저 수사의 도마 위에 오르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며 “표적수사가 이루어지고 있다라는 식으로 물타기하는 자기 변명의 방어논리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또한 그는 “돈의 전달자로 지목된 윤 모 부사장이 대선 총선에도 돈 심부름을 했을 것이라고 굳이 대선 얘기까지 꺼낸 것은 경우에 따라서는 자기가 알고 있는 걸 다 불 수도 있다라는 (여권을 향한)대단히 위협적인 발언”이라고 말했다.
특히 노 전 대표는 “대통령 불법 대선자금 수사가 더 중요한 문제가 아닌가”라면서 “그래서 이 부분에 대한 수사를 제대로 할 수 있느냐, 없느냐가 특검으로 가느냐 안 가느냐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노 전 대표는 “대통령은 최소한 참고인으로 그 문제의 사실 관계에 대해서 진술도 필요한 부분”이라면서 “수사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식으로 개입하는 것은 불필요한 오해를 자초한 일이기 때문에 삼가해야 되는 게 아닌가”라고 말했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