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2018학년도부터 적용되는 고등학교 한국사의 근현대사 비중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돼 시대에 역행한다는 논란이 가속되고 있다.
5월 12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진재관 박사 등 역사 교육과정 연구팀은 이날 오후 연세대학교에서 토론회를 열고 ‘2015 역사과 교육과정 시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연구진은 현재 한국사의 근현대사 비중이 과다하다는 의견을 반영했다면서 “근현대사의 비중을 5:5에서 6:4의 비중이 되도록 조정했다”고 예고했다.
이에 따라 전근대사 비중이 늘어나면서 신라 등 삼국시대에 관한 부분이 크게 늘어난다.
기존 ‘우리 역사의 형성과 고대 국가의 발전’에 포함돼 있던 삼국시대 이야기는 ‘고대 국가의 발전’이라는 대주제로 별도로 빠져나온 상황이다.
이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고등학생이 한국사 교과서에 일정한 시기를 집중적으로 배우면 암기를 많이 하고 학습 부담이 크다”면서 근현대사 비중을 줄이는 것에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으나, 실제 학생들의 학습 부담이 덜어질 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근현대사 비중의 축소는 세계적인 역사교육 추세에 역행한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이날 구난희 한국학중앙연구원은 토론에 앞서 배포한 토론문에서 “세계의 역사교육 추세는 한결같이 근현대사를 중시하고 있다”는 점을 설명하며 “역사교육에서 근현대사가 중시되는 점은 우리가 몸담은 현재와 바로 이어졌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그에 따르면 현대사를 전근대사와 단순 비율로 안배하는 것에 대한 문제점은 역사교육계에서 공감하고 있으며, 결국 현재의 시안은 근현대사를 줄인 것이 아니라 ‘전근대사를 늘린 것에 불과하다’는 입장이다.
결국 근현대사의 비중 감소는 시대에 역행하는 교육일 뿐 학생들의 학습부담을 덜어주는 것은 아니라는 지적이 이어지면서 ‘근현대사와 전근대사’의 비중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시사포커스 / 최민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