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수원시는 11일 온실가스 배출권 시행에 따라 유해가스 발생률이 높은 재활용품이 혼합된 쓰레기의 소각장 반입 금지를 통해 온실가스를 줄이고, 올해 안으로 쓰레기 2만717t을 감량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와 관련해 시는 지난 1일부터 ‘쓰레기와의 사랑과 전쟁 2차 대전’을 선포하고, 재활용품이 분리 수거되지 않은 종량제 쓰레기봉투는 과태료를 부과하고 일체 반입도 중단하기로 했다.
시에 따르면 2013년 ‘쓰레기와의 사랑과 전쟁’을 통해 쓰레기 무단투기는 일부 감소하고 종량제 봉투 사용률이 50% 미만에서 85% 이상으로 증가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여전히 재활용품의 분리배출이 지켜지지 않아 자원 재활용이 될 수 있는 재활용품이 소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시는 소각장에 반입된 쓰레기 가운데 반입기준 위반(재활용품 혼입 5% 이상, 비닐 다량 함유 등)으로 적발된 동에 대해서는 1차 경고조치하고, 2차 적발 때부터 횟수에 따라 3일에서 30일까지 쓰레기 반입을 정지하기로 했다.
한편 반입정지 처분을 받은 동은 즉시 통·반 회의 및 반상회를 거쳐 쓰레기 반입정지에 대한 조치계획을 세워 주민에게 홍보하고, 처분 5일 뒤에는 시·구·동의 직원과 해당지역 주민이 점검반을 편성해 자원회수시설의 샘플링을 실시한다.
시 관계자는 “종량제봉투에는 비닐, 종이, 플라스틱 등 재활용 가능한 품목이 60% 이상 혼합돼 있어 주민들의 작은 관심과 실천만으로도 쓰레기를 줄일 수 있다”며 “특히 라면 및 과자봉지, 비닐 포장만 분리배출해도 전체 쓰레기의 30% 이상을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서 “쓰레기 감량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공공기관, 사업장 등에 여러 가지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무엇보다 올바른 쓰레기 배출문화가 확산돼야 한다”며 “재활용품 분리배출에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시사포커스 / 김영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