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지난 2010년 이후 지난해까지 네 차례의 시도가 모두 무산된 우리은행 민영화를 연내 재추진하기 위해 부주하게 움직이고 있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4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최근 박상용 공적자금관리위원회 위원장이 중동 국부펀드를 방문해 우리은행 지분 투자를 요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우리은행은 예금보험공사가 지분 51%를 보유하고 있으며,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우리은행의 지분 매각을 주관하는 기관이다.
특히 박상용 위원장은 2013년 취임 이후 처음으로 김승규 우리은행 부사장과 아랍에미리트(UAE)를 직접 방문해 아부다비국부펀드 측에 우리은행 소수지분 투자 의향을 타진했고, 모건스탠리가 19~21일 영국 런던에서 여는 ‘2015 글로벌 이머징마켓(GEMs) 콘퍼런스’에도 들러 카타르, 쿠웨이트 등의 국부펀드에 지분 투자 의사를 타진하는 등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이처럼 우리은행 지분 매각을 주관하는 공적자금관리위원회 수장이 직접 중동 국부펀드와 접촉해 투자 의사를 물었다는 점이 알려지자 다섯 번째 민영화는 반드시 성공해내겠다는 정부의 의지가 읽히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그간 우리은행 민영화는 경영권을 포함한 지분을 한꺼번에 팔려고 하다 수 차례 실패를 맛봤다. 이에 이번에는 전 지분의 분산매각 방침이 적용될 것으로 분석하는 시각이 힘을 얻고 있다. 산업자본이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지분 한도인 4%씩으로 쪼개 파는 ‘과점주주 매각’ 방식으로 진행될 것이라는 전망인 셈이다.
다만 금융위원회 측은 “아직 어떤 형태로 민영화를 추진할지 확정된 건 없다”면서 “공적자금관리위원회에서 8월 이내에 매각 방안을 내놓을 것”이라고 전했다.
정부가 과점주주 매각 방식을 택할 경우 성사 가능성은 상당히 높다는 게 금융권 분석이다. 앞서 네 차례의 민영화에서는 예금보험공사의 우리은행 지분을 한 번에 매각하거나 경영권 지분(30%)과 소수지분을 분리해 매각하는 방식을 추진했으나 실패했다. 우리은행 고위 관계자는 “내부적으로 과점주주 매각 방식으로 갈 것으로 보고 투자 의사가 있는 국내 대기업, 재무적 투자자를 알아보는 중”이라고 말했다.
금융권에서는 대체로 과점주주 매각 방식의 성공률을 높게 보고 이를 지지하고 있다. 이광구우리은행장 역시 지분을 쪼개 파는 과점주주 방식이 가장 합리적이라고 판단해 국내는 물론 해외 재무적투자자(FI)를 찾는데 동분서주하고 있다.
반면 “우리은행 민영화에 직을 걸겠다”고까지 다짐한 신제윤 전 금융위원장과는 달리 임종룡 신임 금융위원장은 아직 별다른 반응이 없다는 얘기도 나온다. 과점주주 방식으로 우리은행을 매각할 경우 매각은 성공하겠지만 대신 경영권 프리미엄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그만큼 손해를 보게 된다. 또한 중국 자본 4~5곳이 모여 경영권에 영향을 줄지도 모른다는 우려도 임종룡 위원장이 선뜻 움직이지 못하는 원인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 시사포커스 / 김종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