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일 열리는 한미 국방장관 회담에서 주한미군 탄저균 배달사고 문제를 긴급 의제로 상정해 대책을 논의하기로 합의했다.
국방부는 29일 “류제승 정책실장이 데이비드 시어 미 국방부 아태차관보와 만나 최근 ‘주한미군 탄저균 배달’ 문제를 한미 국방장관회담에서 긴급 의제로 논의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회담에서는 우리 정부의 사전 통보 없이 살아있는 탄저균이 주한미군에 배달된 경위와 재발 방지대책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양국 방위정책 관련 사항을 비롯해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공조방안, 양국 국방교류·협력 증진 문제 등에 대해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주한미군사령부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탄저균 표본 실험 훈련은 이번이 처음이었다”며 “미국에서 한국으로 배송된 비활성 상태의 탄저균이 유해하지 않다는 가정하에 균 식별 등의 용도로 사용됐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실험 훈련은 최초로 실시된 것으로 한미 동맹군 보호와 대한민국 국민 방어에 필요한 주한미군사령부의 역량 향상을 위한 것이었다”며 “현재 한국 국민과 오산 공군기지 내 군인 등에게 추가적 위험은 없다”고 강조했다.
주안미군은 또 “탄저균 표본은 표백제에 완전히 담가 폐기했다”며 “시설 내 모든 표면을 한 군데도 남김없이 닦아내는 방식으로 살균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탄저균 표본은 실험실 훈련 환경 내에서 다뤄진 것으로, 이곳은 5명의 미 공군과 10명의 미 육군, 3명의 미 육군 군무원, 오산 공군 기지내 합동 주한미군 위협인식 프로그램 소속 4명의 미국 계약요원을 포함한 총 22명의 인원들이 사용하는 곳”이라며 “표본에 노출 가능성이 있는 모든 요원은 예방약 복용과 의료 진료를 받았고, 현재 어떠한 감염 증상도 보이지 않았다”고 밝혔다.
주한미군은 “오산 공군기지의 합동 주한미군 위협인식 프로그램의 일환인 생물방어 실험 훈련은 추가적인 조사가 완료될 때까지 전격 중단됐다”며 “지난 27일 한국 정부에 이번 사안에 대해 즉시 통보했고, 주한미군이 취한 즉각적인 대응에 대해서도 알렸다”고 전했다.
아울러 주한미군은 “미국 질병관리예방센터와 기타 정부 관계기관과 지속적으로 협조해 조사가 진행 중이며, 한국 정부와 지속적으로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