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법 개정 문제를 두고 당‧청 갈등이 전면화 되고 있는 가운데, 새누리당 김태호 최고위원이 최고위원회의 공개 석상에서 유승민 원내대표를 향해 강하게 문제제기하고 나섰다.
김태호 최고위원은 1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유승민 원내대표를 향해 “참다가 또 참다가 말씀드린다”며 “유승민 원내대표 체제 출범 이후 청와대와 당의 갈등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김 최고위원은 국회법 개정 문제와 관련한 당‧청 갈등을 지적하며 “참으로 안타깝다. 청와대는 청와대대로 여당은 여당대로 국민을 상대로 마치 자기주장이 옳다는 듯이 여론전을 펴고 있는 형국”이라며 “집권여당과 정부 청와대는 사실상 공동운명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런데 지금 책임지는 모습은 간 곳 없고 상대방에게 마치 화살을 겨누는 책임을 전가 하는 듯한 하류정치의 일단을 보이고 있는데 대해 국민들에게 한 없이 부끄러움을 느낀다”며 “국회법 개정안의 위헌여부 논란이 갈등의 본질인가, 아니면 지금까지 잠재해왔던 여권 내부에 내재해 있던 모순과 무능함이 갈등의 본질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김 최고위원은 “그동안 당정협의는 뭐하려고 했는가. 무늬만 있었던 것이냐”고 강하게 따져 물으며 “당청간 시시때때로 분열과 갈등의 모습을 보이는데 과연 국민들이 우리에게 믿음을 주고 앞으로 지지해주겠냐”고 강하게 성토했다.
특히, 김 최고위원은 유승민 원내대표에 대해 “원내대표에게 우리의 모든 권한들을 위임했고, 원내대표라는 자리는 여야 협상의 창구이고 대표의 자리”라면서 “그렇게 권한을 위임할 때는 당내의 다양한 의견과 특히 청와대나 정부와 사전에 깊은 조율을 근거로 그 기준으로 협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런데 협상의 결과가 늘 갈등으로, 당청 간의 갈등으로 비춰지고 있다”며 “공무원연금도 그랬고 지금 시행령도 마찬가지다. 그리고 개인적인 소신인지 모르겠지만 정세문제, 사드문제, 모든 것이 갈등으로 비춰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최고위원은 거듭 “원내대표 자리는 개인의 자리가 아니라 막중한 책임이 따르는 자리라고 본다”며 “앞으로 이런 부분들을 유승민 원내대표께서 한 번 더 깊이 있게 새겨주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