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에서 메르스 공포가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복지부가 격리조치로 인해 생계문제로 곤란에 빠진 대상자를 지원하기 위해 관련 예산을 마련할 예정인 것으로 확인됐다.
1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4인 가구 기준으로 월 110만원 생계비를 ‘긴급복지지원제도’에 따라 격리 대상자들에게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긴급복지지원제도는 위기에 처해있는 개인이나 가정에게 생계와 주거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하는 제도이다. 가정의 주 소득자가 가출이나 사망으로 소득을 잃을 때, 중병이나 부상을 당한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현재 메르스로 인해 자가·시설 격리 중인 사람은 682명이며, 이들 중 고위험군으로 분류되는 200명 정도는 시설로 격리된다. 주로 나이가 50세 이상이거나 당뇨병, 심장병, 신장병, 폐병 등 만성 질환을 앓는 사람이 메르스 확진자와 가깝게 접촉한 경우다. 이들은 전국 2곳의 시설에 배정돼 외부와의 접촉이 차단된 상태로 의료진의 관리를 받게 된다.
이들은 메르스 잠복기 2주 동안 외출을 할 수 없어 생업에 종사할 수 없기 때문에 그간 보건복지부의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그간 꾸준히 제기돼 왔다.
복지부 관계자에 따르면 구체적인 지원 방안으로 생계비를 지원하며 교육비, 전기세, 연료비 등 추가적인 지원은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긴급복지지원제도 대상자의 소득기준은 최저생계비 185% 이하, 4인 가구 기준 월 309만 원 이하는 지원 받을 수 있다.
한편 메르스는 중동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한 바이러스로 사스와 유사한 고열, 기침, 호흡곤란 등 심한 호흡기 증상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다. 메르스의 증상은 잠복기(2일~14일) 후에 발병하며 아직까지 치료제와 백신이 없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3명이 메르스 유전자 검사에서 최종 양성으로 확인돼 메르스 환자는 현재 총 18명으로 집계된 상태다. [ 시사포커스 / 오현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