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보다 '식음료'에 심취한 광동제약
‘제약'보다 '식음료'에 심취한 광동제약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약개발과 수출은 뒷전, ‘부업’에 올인
▲ 지난해 상위 매출 10대 제약회사에 진입한 광동제약이 제약보다 부업인 식음료 사업에 열을 올리고 있다는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이미지는 광동제약이 최근 페이스북으로 소개한 비타500, 옥수수수염차 및 신제품.  / 이미지=광동제약 공식 페이스북

비타500으로 유명한 광동제약이 부업인 ‘식음료’ 매출에 열을 올리면서도 연구개발과 수출은 등한시하고 있어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광동제약은 매출 약 5210억원을 올렸다. 그러나 이 매출에서 약 3000억원이 제약과는 상관없는 ‘부업’에서 나왔다. 매출의 반 이상이 비제약 사업에서 나온 것이다. 이러한 추세는 올해 1분기에도 계속되고 있다. 1분기 전체 매출 약 1215억원 가운데 660억원 가량이 식음료에서 나왔다.

특히 가장 매출 성장세가 두드러지는 것은 생수제품 ‘삼다수’다. 지난해 광동제약의 생수제품 '삼다수' 매출은 1479억원가량이다. 이는 전년보다 223억원(17.1%)이나 증가한 규모다. 전체 매출에서 삼다수가 차지하는 비중도 같은 기간 26.9%에서 28.4%로 1.5%포인트 높아졌다. 올해 1분기에는 삼다수 매출이 352억원으로 매출 비중이 29%로 높아졌다. 특히 같은 기간 비타500, 옥수수수염차 등 드링크 음료를 합한 매출 약 310억원과 비교해도 42억원 가량 더 높은 매출을 보이고 있다. 이에 힘입어 광동제약은 지난해 매출액 11%, 영업이익이 14% 상승했다. 올해 1분기에도 매출액 10.1%, 영업이익은 8.8% 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광동제약의 '본업'인 제약 부문 매출 비중은 점점 낮아지고 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전문의약품인 항암치료제 '코포랑'과 '독시플루리딘'의 지난해 매출은 각각 19억원 가량으로 매출 비중은 각각 0.4%에 불과했다. 두 제품을 합쳐도 매출 비중이 1%도 안 된다. 올해 1분기에는 이들 제품의 매출이 각각 4억원, 약 3억4000만원으로 나타나 비중이 0.3%로 낮아졌다. 그나마 같은 기간 비타민D 주사제 '비오엔주'가 매출 21억원을 달성해 전체 의약품의 매출 비중은 간신히 2%를 넘었다. 광동제약의 주력상품인 ‘우황청심원’ 매출도 2013년 302억원에서 지난해 298억원으로 4억원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광동제약은 제약 부분 연구개발(R&D) 비용이 해마다 낮아지고 있다. 지난해 광동제약의 연구개발비는 약 59억원으로 10대 제약사 중 가장 낮았다. 이는 매출액 대비 1.1% 수준으로 2013년과 2012년에 비해 각각 0.1% 포인트, 0.5% 포인트 낮아졌다. 제조업 평균 개발 비용 3~4%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게다가 수출 비중도 10대 제약사 중에서 최하위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내 매출 상위 10대 제약사 수출액은 총 168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720억원보다 1.8% 감소했다. 10대 제약사 가운데 올해 1분기에 수출을 가장 많은 회사는 유한양행으로 349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331억원에 비해 5.4% 증가한 수치다. 반면 광동제약은 23억원에 불과했다. 이 수치도 제약부문보다 비타500, 옥수수수염차, 삼다수 비중이 압도적이다.

이 와중에도 광동제약은 지난 2월 전자상거래 업체 '코리아아이플랫폼'을 인수하기도 했다. 당시 광동제약은 보도자료로 “407억원을 투자해 코오롱글로벌 계열사인 코리아이플랫폼 주식 56%를 인수했다”고 밝혔다. 코리아이플랫폼은 지난 2000년 설립된 MRO(소모성자재 구매대행)회사로 매출 5076억 원(2013년말 기준) 규모의 B2B 전자상거래 회사다. 이는 광동제약이 제약부분에서 벗어나 새로운 유통 채널 확보로 식품, 의약외품 등 다양화를 모색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올해 상위 제약사들이 매출대비 10~20%정도를  R&D에 투자하는 것과 상반된 모습이다. 

게다가 광동제약은 공익재단 가산문화재단을 운용하면서 정작 재단 출범 이후 자산 대비 사업비 지출은 고작 매년 1~2%에 지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공익 재단을 오너가 지배구조 강화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는 의혹까지 나오면서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