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사태에도 ‘정쟁’ 지적 잇따라…초당적 협력 필요성 공감대 이뤄

여야가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 확산에 따른 정치권의 공동 대응을 논의하기 위해 오는 7일 여야 대표회담을 갖기로 합의했다.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에 제안해 이뤄진 이번 회담은 양 대표 외에 새누리당에선 유승민 원내대표와 이명수 당 메르스 비상대책특위 위원장, 새정치연합에선 이종걸 원내대표와 추미애 당 메르스 대책특위 위원장 등이 참여, ‘3+3 회담’ 형태로 개최될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양당 정책위의장을 포함시켜 ‘4+4 회담’ 형태로 진행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야의 이 같은 공동 대응은 최근 정치권이 메르스 사태를 방기하고 있다는 지적을 의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당청간 갈등을 비롯, 여야 관계가 악화된 가운데 메르스 사태를 맞아서도 정쟁을 벌이고 있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이 때문에 유승민 원내대표는 이날 “메르스 사태로 국가 비상사태”라면서 “국민 불신만 초래하는 일체의 정쟁은 당분간 중단할 것을 호소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문재인 대표 역시 “정부 대책이 한참 미흡하고 불안만 더 가중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은 잘잘못을 따지지 않겠다. 지금은 잘잘못을 따지지 않고 국민의 안전에 집중하고, 책임을 묻는 건 나중에 미루자”고 밝힌 바 있다.
한편, 이번 회담에서 정부 시행령에 대한 국회의 수정요구권을 강화한 국회법 개정안 문제도 논의될지 여부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