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건복지부는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차단을 위해 가장 많은 환자가 발생한 메르스 병원 명단을 공개하고, 이 의료기관을 방문했던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추적조사를 실시하기로 했다.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은 5일 기자회견을 열어 “5월 15일에서 29일 사이에 무슨 이유로든 평택성모병원에 방문한 분들은 메르스 콜센터로 연락하거나, 보건복지부 홈페이지에 접속해 신고해 달라”고 밝혔다.
복지부는 메르스 병원공개 명단에서 경기도 평택에 위치한 평택성모병원에 가장 많은 환자가 발생했으며 최초 감염환자가 입원한 지난달 15일부터 병원이 폐쇄된 29일 사이에 병원을 방문했거나 입원했던 사람들이 감염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문 장관은 “메르스 환자가 집중적으로 발생한 의료기관을 공개하기로 결정을 했고, 위험시기에 이 의료기관을 방문한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보다 적극적인 조사를 실시하기로 했다”며 이어 “금번 메르스 확산은 경기도 평택에 위치한 평택 성모병원에 5월 15일에서 29일 사이에 계셨던 분들 중에서 대부분의 환자가 발생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41명의 환자 중 30명의 환자가 이 병원에서 발생하였으며 병원 내 감염 환자도 모두 이 병원의 환자에 의해 발생했다”고 메르스 병원 이름을 처음 공개했다.
현재까지 총 메르스 확진환자는 41명이며 1820은 격리상태, 격리해제는 22명, 사망자는 4명으로 집계된다.
한편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은 박원순 서울시장이 4일 밤 긴급 브리핑 발표에 대해선 “서울시 발표에는 사실과 다른 부분이 있어 오히려 국민의 불안을 증폭시킬 우려가 있고 그간 메르스 확산 차단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정부의 조치에 국민의 불신과 오해를 불러올 소지가 있다고 판단이 되어 사실관계를 분명히 밝히고자 한다”고 반박했다. [ 시사포커스 / 오현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