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과 세계보건기구(WHO) 합동평가단이 국내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와 관련 “지역사회 전파가 진행되고 있지는 않지만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13일 WHO 합동평가단은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국내 메르스 전파원인과 양상 등 합동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WHO 대표인 케이지 후쿠다 사무차장은 “현재 시점에서 지역사회 전파가 진행되고 있다는 점은 없다고 판단했다”며 “다만 메르스 유행이 진행되는 동안 그러한 가능성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합동조사단은 국내 메르스의 역학적인 양상은 중동지역에서 발생했던 메르스의 유행과 다르지 않다고 결론을 내렸다.
국내 바이러스의 변종 가능성에 대해서도 “현재 가용한 정보에 기초해 바이러스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메르스 바이러스가 전염성이 더 강한 바이러스로 변이된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환경오염이나 환기시설, 또는 기타 다른 요인들이 이번 메르스 유행에서 바이러스 전파에 유행을 미쳤는가의 여부는 확실하게 판단 할 수는 없었다”고 말했다.
후쿠다 사무차장은 “이번 메르스 발병 규모가 크고 양상이 복잡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환자 발생은 아마 예상을 해야 할 것”이라며 “한국 정부는 본 상황이 완전히 종결될 때까지 경계태세를 유지해야 하고 강화된 질병통제와 감시 예방조치를 유지해 나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메르스 유행이 대규모이고 복잡한 상황이므로 조치가 완전한 효과를 발휘하는데 수주가 걸릴 것”이라며 “단기간에 해결될 것을 예상하면 안된다”고 지적했다. [ 시사포커스 / 오현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