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한국, 메르스 국제비상사태 아니다”
WHO “한국, 메르스 국제비상사태 아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여행·교역 금지조치 필요 없다”
▲ 세계보건기구(WHO)는 한국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확산 사태에 대해 국제적 공중조건 비상사태에 해당되지 않으며 한국에 대한 여행·교역 금지조치는 필요없다고 밝혔다. ⓒ뉴시스

세계보건기구(WHO)는 한국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확산 사태에 대해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에 해당되지 않으며 한국에 대한 여행 및 무역의 어떤 제한도 권고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WHO는 지난 17일 이 같은 내용의 ‘제9차 메르스 긴급위원회 결과’를 발표했다.

WHO는 제9차 메르스 긴급위원회 이후 발표한 성명서에서 “한국의 메르스 발병이 경종을 울리는 계기가 돼야 한다”며 “하지만 한국의 메르스 사태가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하기 위한 조건을 갖추지 못했다”고 밝혔다.

세계 보건규정상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는 질병이 범세계적으로 확산해 국제사회 차원에서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할 때 발동된다.

WHO는 한국에서 메르스가 확산된 주요원인으로 ▲의료진과 일반대중의 메르스 이해 부족 ▲병원 내 감염 예방 및 통제 조치 최적화되지 않음 ▲혼잡한 응급실과 다인 병실에서의 메르스 환자 접촉과 노출기간 증가 ▲여러 병원에서 진료 받는 문화(의료 쇼핑) ▲많은 방문객과 환자 가족이 병실에서 머무는 문화 등을 꼽았다.

이어 “한국의 보건 수준이 높기 때문에 한국에 대한 여행이나 교역 금지 조처는 권고하지 않으며 체열감지기를 통한 입국 검사도 현재로서는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WHO는 “이번 메르스 바이러스가 이동이 활발한 국제사회에 경각심을 불러일으켰으며, 모든 국가는 예기치 못한 메르스 및 기타 심각한 전염병 발병에 항상 대비해야 한다”며 “현 상황을 통해 보건 분야와 항공과 같은 주요 다른 분야의 협력과 소통 강화의 필요성이 부각됐다” 고 강조했다. [ 시사포커스 / 오현지 기자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