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가박스가 제이콘텐트리 품에 안긴지 한 달 만에 비싼 팝콘 값과 3D 안경 끼워팔기 등 불공정 거래 혐의로 공정위 조사를 받고 있다.
18일 공정위는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들이 지난 2월 공정위에 메가박스와 CGV, 롯데시네마 등 3개 영화 업체가 시장점유율이 높은 점을 이용해 불공정거래 행위를 했다며 신고서를 제출했고, 현재 조사 중인 상태라고 밝혔다.
2013년 기준 이들 3개 업체는 90%가 넘는 시장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시민단체들은 이들 업체들이 고객들에게 광고를 보도록 강요하고 스낵코너에서 폭리를 취했다고 주장했다. 영화 시작 전 광고가 나와 영화 상영시각이 당초 표시된 시간을 넘기는 등 관객들이 원하지 않은 광고를 보게 했다는 점, 시중 가격에 비해 영화관 매점에서 파는 팝콘과 음료수 등 가격이 훨씬 비싼점을 문제로 삼았다.
또한 3D영화 영화의 경우 티켓 가격에 전용 안경값이 포함돼 일반 영화보다 5000원 정도 비싼 것인데 이들 업체는 영화를 본 후 안경을 가져갈 수 있다는 점을 알리지 않아 관람객들이 안경을 반납해야 하는 것으로 생각하게 만들었다고도 지적했다.
◆ 3대 멀티플렉스 팝콘價 8.2배 폭리
한편, 지난해 영화관 측의 ‘가격 다양화’ 조치 이후 메가박스를 포함 CGV, 롯데시네마는 입장권 수입만으로 1조원을 웃도는 매출을 올렸다.
영화진흥위원회의 ‘2014년 한국 영화산업 결산’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영화관 입장권 매출은 전년 대비 7.3% 증가한 수준인 1조 6641억 1865만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영화 관객수가 전년보다 0.8% 증가한 2억 1506만 명으로 별 차이가 없었다는 점을 감안할 때, 매출 증가는 입장권 가격 상승에 따른 것이다.
지난 2월 참여연대·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민생경제위원회·청년유니온은 멀티플렉스 3사의 영화관의 ‘가격 다양화’ 방침에 대해 “불공정 행위”라며 공정거래위원회에 신고했다. 시민단체들은 “영화상영관 시장지배율 상위 3사가 시장에서의 지배적 지위를 남용하고 불공정행위금지 등을 위반하면서 소비자 이익을 침해하는 행위를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3사 멀티플렉스에서 판매되고 있는 팝콘의 가격 문제도 지적했다. 지난해 6월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가 3대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매점에서 판매하는 먹거리 가격을 조사한 결과 팝콘의 원가는 613원으로 5000원 판매가격 기준으로 8.2배나 폭리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2000원짜리 탄산음료의 원가는 600원으로 3.3배나 비싸게 받았고, 8500원짜리 콤보 상품의 원가 역시 1813원으로 4.7배나 비쌌다.
이와 관련해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영화관들은 원재료를 대량 구입하고 음료제조기를 이용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협의회가 산정한 원재료 가격보다 훨씬 저렴하게 제품을 공급받고 있을 것”이라면서 “실제 원재료가와 판매가격과의 차이는 더욱 클 것”이라고 분석했다.
같은 달 참여연대는 ‘영화관 확 바꾸자’라는 타이틀로 시민캠페인에 돌입하면서 “CGV‧롯데시네마‧메가박스와 같이 대기업에서 운영하는 전국 체인형태의 멀티플렉스는 전체 시장에서 극장수 83%, 스크린수 94%, 좌석수 97%를 차지한다”며 “이 수치를 통해 영화관 3사들이 국내 영화 산업을 독식하며 이익을 벌어들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시민들은 실제로 영화관에 대해 비싼 팝콘 등 영화관의 폭리와 부당 한 광고 상영, 맨 앞좌석도 동일한 영화관람료 징수, 주말 시네마포인트 사용 불가, 상영관 배정의 불공정성 등 다양한 권리 침해를 당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지난달 메가박스가 중앙일보 계열 콘텐츠 유통기업 제이콘텐트리에 인수되면서 당초 인수 후보자로 거론되던 중국계 투자자로부터 국산 영화관을 지켜낸 것에 대해 ‘국부유출을 막았다’는 긍정적 여론이 많았다.
향후 제이콘텐트리가 소비자들 사이에서 끊임없이 제기돼온 ‘폭리의혹’을 어떤 식으로 잠재울 수 있을지에 대해 이목이 집중되는 상황이다.[시사포커스 / 진민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