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21일 도쿄에서 한일 외교장관 회담이 예정돼 있는 가운데, 위안부 문제 협의를 두고 양국 모두 신중론을 펼치고 있다.
앞서 박근혜 대통령이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위안부 협상의 마지막 단계’라고 언급하면서 타결 가능성이 높아졌지만, 세부적인 부분에 있어서 여전히 이견이 존재하고 있는 상황이다.
18일 일본 닛케이신문 보도에 따르면 한국과 일본 정부가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지난해 4월부터 최근까지 8차례 국장급 협의를 열어 상대국 정부가 취해야 할 조치를 논의했지만 결론에 이르지 못했다고 전했다.
신문은 “일본 정부 예산으로 위안부 피해자에게 재정 지원을 하고 사죄 성명을 발표하는 대신 한국 정부가 문제의 최종 해결을 보증하는 구상이 양국 간에 논의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 정부가 요구하고 있는 사안에 대해선 “한국 정부는 일본 정부가 예산을 사용해 위안부 피해자를 지원하라고 요구하고 있다”며 “국가의 책임을 사실상 인정해 일본 정부가 돈을 내놓았다고 해야 한국 국민이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성명을 통해 사죄와 책임을 언급하고, 주한 일본 대사가 위안부 피해자를 만나는 것도 원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1965년 한·일 청구권협정으로 모든 법적인 문제가 끝났다고 주장하는 일본 정부 입장에서는 받아들이기가 쉽지 않다”고 보도했다.
이날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윤병세 외교부 장관의 일본 방문과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 기념행사 등을 계기로 위안부 문제에서 큰 진전이 이뤄질 가능성이 있느냐는 질문에 “일본 정부의 기본적인 생각은 오늘까지 말해온 대로”라며 선을 그었다.
이같은 보도에 외교부 노광일 대변인은 서울 종로구 외교부에서 브리핑을 통해 “협의가 진행 중인 사안인 만큼 구체적인 내용을 밝히기 어려운 점을 양해해주시기 바란다”면서 “다만 일본 언론의 해당 기사는 사실관계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보도 내용을 부인했다.
노 대변인은 아울러 “구체적으로 어느 내용이 사실과 다르다 하는 내용은 우리가 협의 진행 중인 사항하고 직결돼있기 때문에 지금 그 질문에 구체적으로 답변하기는 어려운 점을 양해해 달라”고 말했다.
한편 위안부 문제 관련 협상에서 일본 측은 위안부 소녀상 철거, 국제사회 위안부 캠페인 중단 등을 요구하는 반면 우리 정부는 일본 정부의 위안부 관련 역사적 사실 인정, 배상 등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