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대통령은 22일 한국과 일본이 수교 50주년을 맞은 것에 관련 “앞으로 새로운 양국 관계로 나아가는 원년이 되도록 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 같은 메시지를 일본을 방문 중인 윤병세 외교부 장관을 통해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에게 전했다고 윤 장관이 이날 도쿄의 한 호텔에서 열린 주일 한국 특파원과의 오찬 간담회에서 전했다.
윤 장관은 일본 정부의 세계유산 등재 추진 문제와 관련 “양국 간에 큰 틀에서 합의가 있었다”며 “앞으로 협상 대표가 가까운 시기에 적절한 형식으로 협의를 마무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한국이 요구한 것처럼 한반도 출신 노동자가 하시마(端島, 일명 ‘군함도’)탄광 등에서 강제 노동을 한 사실을 어떤 형태로든 반영하는 안에 관해 기시다 외무상과 사실상의 합의가 이뤄졌다는 것을 시사한 것이다.
한편, 아베 총리는 이날 도쿄 지요다(千代田)구의 총리관저에서 윤 장관을 만나 “(한일) 양국 국민을 위해, 다음 세대를 위해 박근혜 대통령과 함께 다음 반세기를 향해 관계를 개선·발전시키고 싶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는 또 이날로 한일 수교를 위한 기본조약 체결 50주년을 맞이한 사실에 언급, “반세기전 오늘 일한관계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며 “양국 사이에 여러 과제와 문제가 있을수록 솔직하게 이야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오전 11시15분께 시작한 면담은 예정된 시간(15분)을 넘겨 25분 가까이 진행됐다. 면담에는 한국 측에서 유흥수 주일대사, 김홍균 외교부 차관보, 이상덕 외교부 동북아 국장, 일본 측에서는 세코 히로시게(世耕弘成) 관방 부(副) 장관, 이하라 준이치(伊原純一)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 가네하라 노부가쓰(兼原信克) 내각관방 부(副)장관보 등이 각각 배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