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대 공기업의 비정규직 비중이 30%를 넘어섰다. 정규직보다 5배 많은 수준이다.
28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2010년부터 2014년까지 4년간 국내 30개 시장형·준시장형 공기업의 고용 형태를 분석한 결과 비정규직은 3만9898명에서 4만4837명으로 4939명(12.4%) 늘어난 반면 정규직은 9만7513명에서 9만8659명으로 1146명(1.2%) 증가에 머물다.
이에 전체 직원 중 비정규직이 차지하는 비중이 2010년 29.0%에서 2014년 31.2%로 4년 새 2.2%포인트나 올랐다. 비정규직은 무기계약직, 일반계약직, 소속 외 직원을 모두 포괄한다.
30대 공기업 중 비정규직 비중이 증가한 곳은 한국토지주택공사를 비롯해 20곳에 달했다. 2014년 한국토지주택공사의 정규직 직원은 6113명으로 2010년보다 508명(7.7%) 감소한 반면, 비정규직은 2065명으로 876명(73.7%)이나 늘었다. 비정규직 비중의 경우 15.2%에서 25.3%로 10.1%p 상승하며 30대 공기업 가운데 증가폭 1위를 기록했다.
한국관광공사는 4년만에 정규직 직원이 13명(2.1%) 늘었지만 비정규직은 그 10배인 135명이나 증가했다. 한국관광공사의 비정규직 비중은 4년 새 32.4%에서 40.8%로 8.4%p나 늘었다.
이외 같은 기간 대한석탄공사(8.3%p), 한국수자원공사(7.4%p), 한국남동발전(5.9%p), 울산항만공사(5.3%p) 등도 비정규직 비중이 5%p 이상 높아졌다. 이어 한국수력원자력(4.8%p), 한국가스공사(4.5%p),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4.3%p), 한국조폐공사(3.9%p), 한국중부발전(3.8%p), 한국동서발전(3.5%p), 부산항만공사(3.4%p), 한국철도공사(3.3%p), 한국지역난방공사(3.3%p), 한국공항공사(1.9%p), 한국감정원(1.8%p), 한국서부발전(1.2%p), 한국남부발전(0.6%p), 한국석유공사(0.5%p)의 비정규직 비중이 늘었다.
전체 직원 대비 비정규직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한국마사회로 전체 9360명의 직원 중 정규직은 고작 852명이고, 나머지 8508명이 모두 비정규직이었다.
인천국제공항공사 또한 7359명의 전체 직원 중 비정규직이 6318명으로 85.9%나 됐다. 한국공항공사(65.0%)와 여수광양항만공사(52.9%)도 역시 비정규직 비율이 높았고 대한석탄공사(44.0%), 한국관광공사(40.8%), 울산항만공사(39.7%)도 30대 공기업 평균 비정규직 비중인 31.2%를 웃돌았다.
이어 한국감정원(30.1%), 한국수자원공사(29.4%), 한국전력공사(28.7%), 한국석유공사(28.6%), 한국도로공사(26.6%), 한국토지주택공사(25.3%), 한국가스공사(24.7%), 인천항만공사(20.9%), 한국지역난방공사(19.7%), 한국철도공사(16.7%), 한국남동발전(16.4%), 한국조폐공사(15.6%),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14.8%), 한국수력원자력(14.7%), 한국중부발전(14.1%),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세터(13.9%), 한국서부발전(13.3%), 부산항만공사(12.8%), 한국동서발전(11.7%), 한국광물자원공사·한국남부발전(10.5%) 순으로 비정규직 비중이 높았다.
반면 대한주택보증은 전체 409명의 직원 중 비정규직이 14명뿐으로 비중이 3.4%에 불과했고 해양환경관리공단(7.3%)도 비정규직 비중이 10%가 채 되지 않아 정규직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정규직보다 정규직을 더 늘려 비정규직 비중을 낮춘 공기업은 10곳 이었다. 특히 여수광양항만공사(12.4%p), 대한주택보증(10.4%p), 해양환경관리공단(10.4%p)등 3개사는 정규직 비중을 10%p 이상 높였다.
이밖에 인천항만공사(4.7%p), 한국광물자원공사(3.7%p), 인천국제공항공사(1.4%p), 한국도로공사(1.2%p),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1.2%p), 한국전력공사(0.9%p), 한국마사회(0.2%p) 등도 비정규직 비중을 소폭 줄였다.[시사포커스 / 진민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