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법 개정안 거부권 사태와 관련해 28일 새누리당은 야당의 국회일정 협조를 압박하는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청와대와 여당을 향해 강하게 비난을 가했다.
김영우 새누리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현안브리핑에서 “국회 보이콧으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들께 돌아간다”며 “야당이 국민을 위해 있어야 할 곳은 국회 상임위장과 본회의장임을 생각해주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김 수석대변인은 “야당의 명분 없는 보이콧이 또다시 국회를 마비시키고 시급한 경제살리기, 민생안정 법안들을 발목잡고 있다”며 “상임위와 법사위에서 여야의 충분한 논의를 거쳐 지난 25일 본회의에서 처리만 남겨두었던 60여개의 법안들도 언제 처리될지 기약이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그는 “국회의 소임은 입법을 통해 국민의 삶을 챙기고 윤택하게 만드는 일”이라며 “하지만 야당은 민생과는 전혀 상관없는 이유로 국민들께 꼭 필요한 법안들의 처리를 가로막고 있다. 이는 국회의 소임을 방기하는 것이고 국민의 삶을 외면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 김영록 수석대변인은 “박근혜 대통령이 거부권 행사를 정쟁에 악용해 민생은 외면하고 당청간 주도권 잡기 싸움에 활용하고 있다”며 “이러한 모습에 국민은 실망과 분노를 금치 못하고 있다”고 질타했다.
김 수석대변인은 새누리당을 겨냥해 “집권여당은 대통령의 진노에 놀라 국회법 개정안 자동폐기로 당론을 모았다고 하니 도대체 여야의 대화와 타협은 무슨 의미가 있는 것인가”라면서 “도대체 이 나라에 의회민주주의가 남아 있는 것인지, 군주시대로 회귀한 것은 아닌지 우려스럽다”고 비난했다.
정의화 국회의장을 향해서도 국회법 개정안을 재의결에 부칠 것을 촉구했다. 그는 “그것만이 입법부 수장으로서 정의화 국회의장이 대통령에게 짓밟힌 국회의 권위를 세우고, 의회민주주의를 지키고, 국민의 뜻을 따르는 길”이라면서 “여당 또한 청와대의 줄세우기식 압력에 굴복하지 말고 본연의 책무를 다해 재의결에 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국회법 재의결을 거부하고 자동폐기하자는 것은 국회가 청와대의 시녀임을 자인하는 것이자 개정안에 찬성표를 던졌던 새누리당 의원들의 자기 부정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면서 “새정치민주연합은 국회법 개정안 재의결을 통해 삼권분립과 의회민주주의의 헌정질서를 반드시 지켜낼 것이라는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한다”고 거듭 밝혔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