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롯데쇼핑이 서울 마포구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DMC) 단지 내에 개설을 추진하고 있는 롯데복합쇼핑몰을 두고 상생을 요구하는 지역 상권의 우려가 깊어지고 있다.
28일 김진철 서울시의원(새정치민주연합)은 <시사포커스>와의 인터뷰에서 “현재 롯데복합쇼핑몰은 새로운 시장창출을 통한 소비자 폭 확장이 아닌 기존 소비자 끌어오기, 즉 영세상인 주머니를 터는 것”이라며 지역 상인의 입장을 대변했다. 축구장 32배 면적의 대형 복합쇼핑몰이 들어설 경우 주변 지역상권과 상생이 불가하다는 시각 때문이다.
현재 롯데쇼핑은 상암동 DMC 단지 내에 대형마트와 백화점, 멀티플렉스(영화관), 의류매장, 식당가 등 종합적인 판매, 문화 시설들을 입점시킨 복합쇼핑몰 개설을 2017년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해당 부지는 지하철 6호선 및 경의·중앙선, 공항철도등과 인접해있고 강변 북로, 서부간선도로 등과 연결돼 있다.
문제는 이 지역에 이미 전통시장과 대기업들의 유통 매장이 빽빽하게 자리잡고 있다는 점이다. 롯데복합쇼핑몰과 인접한 전통시장 및 상점가는 마포 상암동 상점가, 마포농수산물시장, 은평구 증산종합시장, 은평구 수일시장 등으로 모두가 직선거리 1㎞ 이내에 있다. 2㎞ 안에는 망원 월드컵시장 및 망원시장이 있고 5㎞ 이내에 8500여 개의 서울시에 등록된 점포가 있다.
반경을 5~10km로 넓히면 이미 대기업이 운영하는 대형마트와 백화점, 기업형 슈퍼마켓이 116개나 되며 통계에 빠진 골목 상가를 합하면 1만개 이상의 점포가 있을 것으로 추산된다. 이에 ‘상권 파괴’를 우려하고 있는 지역 상인들은 롯데의 복합쇼핑몰 추진을 생존권의 문제로 규정하고 대형마트 등이 아닌 지역 상권과 상생할 수 있는 시설의 입점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복합쇼핑몰, 지역내 흐름 끊는 위험한 발상”
이날 김 의원은 “복합쇼핑몰은 소비의 시작과 끝이 그 안에서 모두 이루어지는 새로운 형태의 소비구조를 만들어낸다”며 “이는 매우 위험한 발상이다. 모든 것이 복합쇼핑몰 안에서 이루어지는 소비구조는 지역 내에서 판매와 소비가 함께 일어나는 돈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끊는다. 이는 지역의 발전에도 큰 위협이 된다”고 지적했다.
또한 그는 “예로 식당가, 옷가게, 1차 상품 등은 현재 수익에서 30~40% 정도의 손해가 날 것이다. 전통시장은 자본의 한계로 인해 대기업 쇼핑몰과 경쟁조차 되지 않는다”라며 “국내 대기업은 해외 대기업과의 경쟁을 피해 지역상권을 비집고 들어오고 있다. 이는 대기업이 힘없는 지역시장을 짓밟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더불어 그는 현재 집값 상승을 노리고 롯데복합쇼핑몰 입점을 찬성하는 지역주민들에 대해서도 “그들은 자신의 재산권이 상승할 기회이기 때문에 어찌보면 당연한 일”이라며 “그러나 그들에겐 기존 재산을 불릴 기회이지만, 상인들에게는 생존권의 위협이다. 무엇을 더 보호해야하는지 또한 당연하다”라는 입장을 전했다.
김 의원은 대기업의 행태에 대해서도 쓴소리를 아끼지 않았다. 그는 “대기업의 태도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현 상태는 자본주의가 아닌 착취일 뿐이고 도덕성이 결여된 대기업의 지역상권 죽이기는 갑의 횡포일 뿐”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또한 그는 “대기업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역할도 중요하다. 이대로 가면 중산층은 점점 경제적 지위가 하락하고 상위 1%의 자본만 늘어나 호리병형 경제구조가 만들어질 것”이라며 “이를 막기 위해 국민(소비자)들은 사회에 공헌 할 수 있는 ‘착한 소비’를 해야 한다”고 소비자의 역할을 강조했다.
한편 김 의원은 지역상권과 대기업의 상생에 대해 “이상적인 형태는 기존 상권과 겹치지 않는 문화시설, 호텔 등이 들어서는 것”이라며 “대기업은 눈 앞에 있는 이익을 챙기기보다 지역상권을 배려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기업 이미지 제고에도 긍정적인 결과를 불러올 것”이라고 방안을 제시했다.
◆마포구 강행 여진 지속…서울시 심의 결과 ‘촉각’
지역 상권의 반발 여진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마포구의 강행 처리 방침도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지난 18일 상암동 롯데복합쇼핑말 강행반대 비상대책위원회는 마포구 주민대책위원회와 기자회견을 열고 마포구의 행태를 강하게 비난했다.
비대위는 롯데복합쇼핑몰의 세부개발계획결정안을 마포구가 지난달 21일 조건부 동의 결정을 내린 과정이 철저히 비공개로 진행됐다는 점에 불만을 표하며 “전형적인 밀실행정이므로 추진 강행은 무효”라고 규탄하고 도시계획위원회의 위원 명단과 회의 자료, 회의록 등의 공개를 요구했다. 비대위는 당시에도 기자회견을 열고 마포구청의 동의 결정을 성토하기도 했다.
비대위는 지난 4월 박홍섭 마포구청장과 부구청장을 잇따라 면담하고 협의·합의에 의한 문제 해결을 요구했음에도 지난달 마포구가 심의 과정 공개 없이 결정을 내렸다는 점을 문제삼고 있다.
이에 대해 마포구청 도시계획위원회 담당자는 지난달 18일 <시사포커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저희는 행정청이기 때문에 관련절차에 의해서 진행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 관계자는 비대위가 밀실행정이라고 규탄한 부분에 대해 “조례법에 비공개로 명시되어 있다”며 “비공개 회의기 때문에 밀실회의는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결정권자는 서울시”라며 “마포구는 대형마트 입점을 불허한다고 올렸다”고 해명했다.
비대위 김동규 사무국장에 따르면 현재 상암 롯데복합쇼핑몰 개발계획결정안은 서울시 도시건축공동위원회로 이관돼 내달 8일 심의를 앞두고 있다. 서울시가 심의 결과를 마포구에 알리면 박홍섭 구청장이 최종 결정을 내리게 된다.[박하늘 기자]
또, 상암동에 무슨 옷가게가 있다고??
개 풀 뜯는 기사 그만좀 써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