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유승민 사퇴’ 친박-비박 갈등 고조
與, ‘유승민 사퇴’ 친박-비박 갈등 고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친박 “수단·방법 동원해 사퇴요구” VS 비박 “책임전가 부적절”
▲ 박근혜 대통령의 국회법 거부권 파장으로 인한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의 거취를 놓고 당내 친박계와 비박계 간의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사진 / 홍금표 기자

박근혜 대통령의 국회법 거부권 파장으로 인한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의 거취를 놓고 당내 친박(친박근혜)계와 비박(비박근혜)계 간의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친박계 의원들은 국회법 개정안 처리를 주도한 유 원내대표가 책임을 지고 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 반면 비박계 의원들은 유 원내대표의 사퇴 요구가 부적절하다고 맞서고 있다.

친박계 의원인 김태흠 의원은 29일 MBC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유승민 원내대표가 국회법, 위헌 소지가 있는 국회법 개정안을 처리한 것에 대한 책임도 져야 한다”면서 “더 큰 문제는 여당 원내대표로서의 그런 본분을 망각한 언행, 이런 부분들에 대해서 저는 아주 원내대표직을 수행을 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유 원내대표의 사과에도 사퇴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그는 “때가 늦었다”라면서 “당내에서의 신뢰도 잃었고 또 야당과의 신뢰도 무너졌다. 그래서 원내대표로서의 권위도 상실됐고 또 신뢰도 잃었기 때문에 더 이상 원내대표직을 수행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유 원내대표가 자진 사퇴를 하지 않을 경우에 대해선 “유승민 원내대표가 끝까지 거부를 한다고 하면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서 유승민 원내대표가 사퇴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재신임 의총을 안 했으니까 재신임 의총을 갖자 하는 의원총회 수집 요구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당 지도부가 사퇴를 유도할 수 있는 그런 소위 규정 내에서의 법적인 내에서의 그런 방법을 찾겠다”고 덧붙였다.

친박계 이장우 의원도 이날 SBS라디오 ‘한수진의 SBS전망대’와의 인터뷰에서 “(유승민 원내대표의)사과문 자체 여러 가지를 보면 진정성이 느껴지지 않는다”면서 “국회법 개정 촉발해서 당청 갈등에 대한 책임이 원내대표에게 있다”며 사퇴를 촉구했다.

그러면서 그는 “당청 갈등의 실질적인 가장 고리가 유승민 원내대표이시기 때문에 당과 청의 국정 전반을 위해서라도 스스로 사퇴하는 것이 한시라도 빨리 사퇴하는 것이 여러 가지 국정을 위해서 바람직하다”면서 “ 유승민 원내대표가 사퇴하면 당청 관계는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비박계인 김성태 의원은 이날 PBC라디오 ‘열린 세상 오늘! 윤재선입니다’에 출연해 “모든 책임을 원내대표가 짊어지는데 그것도 일방적으로 끌어내리는 방식으로 책임을 전가한다고 하면 이것은 동료 국회위원으로서 이것은 도리가 아니다”라면서 “시기와 때가 있는 것인데 그런 부분에 좀 더 우리가 당청 간의 슬기로운 지혜를 모아야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의원은 또 “유승민 원내대표를 일방적으로 끌어내리면 그런 추측들이 현실로 받아들일 수 있는 그런 국민적 오해를 우리가 불러일으킬 수 있다”며 “그렇기 때문에 지금 격양되어 있는 분위기를 서로 자제해야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좋은 우리 당청이 새롭게 발전할 수 있는 계기로 가져야지 누구 한 사람 끌어내린다고 이게 어느 날 그런 당청관계 모든 불안정한 문제들이 해결될 수 없는 것 아니겠는가?”라면서 “당청관계가 이게 원만하게 슬기롭게 지혜롭게 해결되지 않아서 당청 관계가 만신창이가 된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들에게 돌아간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김 의원은 당청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선 “하루빨리 김무성 대표와 대통령께서 만나야 된다”며 “(김무성)대표님이 총대를 질 일이 있으면 총대를 지는 것이고 대표님이 우리 당을 위해서 대통령을 이해시키고 대통령에게 호소할 것은 하세요. 왜 담을 쌓고 있는지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