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누리당 김태호 최고위원이 제2연평해전 전사자들의 죽음을 ‘개죽음’으로 비유해 파장이 일어난 것과 관련해 “앞 뒤 문맥을 보면 충분히 뜻을 알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진의를 왜곡하지 말기 바란다”고 해명했다.
김 최고위원은 29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제대로 된, 납득할 수 있는 교전수칙이 해당 과거 정부에서 수립되어 있었더라면 우리의 젊은 아들들은 죽을 필요도 없었을 것”이라면서 “죽어서도 안 되고 죽을 필요도 없는 우리 군인들이 안타깝게 죽어간 것이라 생각하며 이를 표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김 최고위원은 “전사자들의 너무나도 안타까운 고귀한 죽음을 애도하기 위한 표현”이라면서 “결코 전사자들을 모독하고 유가족의 마음에 상처를 주기 위한 의도가 아니었다. 오히려 전사자들을 제대로 예우해 주지 않고 일부 군인들의 단순한 죽음으로 몰아간 당시 권력자들의 행태와, 그들의 값진 희생을 기억하지 않는 것이 모독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국가의 안보태세가 제대로 확립되고 작동되었더라면 안타까운 희생을 치르지 않았을 것이라는 반성과 분노가 격하게 표현되었다”라면서 “고귀한 그분들의 희생을 정치적 도구로 악용하려는 시도는 아닐 것이라 믿는다”고
또한 그는 “당시 대통령과 국무총리, 국방장관은 전사자들의 넋을 기리는 장례식장 그 어디에도 찾아 볼 수 없었습니다. 국가의 최고 수뇌부라 불리는 분들의 이러한 행위가 모독 아닌가”라며 “유가족들의 절규를 애써 외면하고 좋은게 좋다라는 식으로 넘어가려 했던 것이 유가족의 가슴에 대못을 박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김 최고위원은 아울러 “남북화해라는 미명하에 너무나도 안일한 교전수칙을 우리 군인들에게 강제한 것이 오히려 의심스러운 국가관”이라면서 “국가의 영토를 보전하고 국민의 안위를 위해 싸워 전사한 군인들의 영결식과 추모식 때 당시의 권력자들은 어디에 있었나?”라고 따져 물었다. [시사포커스 / 김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