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마포구 염리2구역에 재개발이 진행 중인 가운데 염리2구역 철거민 대책위원회와 전국철거민연합이 마포구청의 재개발 허가를 중단할 것을 요청했다.
염리제2지구 철거민대책위원회와 전국철거민연합은 1일 오전 마포구청 앞에서 ‘마포 개발지역 주민 주거생존권 쟁취 결의 대회’를 개최했다.
대책위는 “재개발을 시행하면서 터무니없는 보상으로 가옥주들이 세입자로 전락할 처지에 놓였다”며 “개발지역 주민들이 개발 인근지역에 방을 구하기 위해 몰릴 수밖에 없고, 그 때문에 전월세 가격이 폭등해 개발지역 인근 주민들은 고통스럽다”고 말했다.
이어 대책위는 “선대책‧후철거의 순환식 개발에 입각한 개발지역 주민들의 이주대책을 세워야한다”고 촉구했다.

박종팔 염리2구역 철거민대책위원회 위원장은 개회사에서 “(정부는) 우리들의 소중하고 안락한 주거환경을 파괴하고 건물 철거를 강행하여 우리들의 주거생존권을 강탈하고 있다”며 “헌법에서는 우리들의 행복추구권을 보장하고 있으며, 또한 국가에 (이를) 요구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했다.
집회에 참가한 염리2구역 주민 A씨는 <시사포커스>와의 인터뷰에서 “보상이 너무 적다”며 “법정 손실 배상금으로는 동일한 환경의 주거공간을 마련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수도권 외곽으로 쫓겨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또한 A씨는 “(재개발이 시행되면) 내 집이 없어지고 세입자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며 “이렇게 주거환경이 파괴되고 기본적인 권리마저 침해당하고 있어 주거의 권리가 보장될 수 있도록 투쟁에 나왔다”고 밝혔다.
한편 염리2구역 재개발사업지는 면적 5만1576㎡를 재개발하는 사업이며 2003년 아현뉴타운지구로 지정된 이후 재개발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 시사포커스 / 오현지 기자 ]
철거연합회외 함께 집회에 참석한 조합원은 대략 20여명 그러나 집회장에는 얼굴 조차도 모를는 사람들이 집회를 주도하고 있어 앞으로 용산 참사처럼 더 큰일이 이러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생각해본다.
염리2구역은 이주를 거절하는 조합원이 약 30여명이다 ,